- 영문명
- A Study on Instructors ‘Verbal Attitudes and Students’ Self-Esteem in Gugak apprenticeship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김예진(Ye Jin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573~60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국악 도제교육 현장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가 학생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학습자의 연령과 교육 참여 기간에 따른 차별화된 효과적인 교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악 도제교육을 경험한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성인 총 102명을 대상으로 익명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자의 긍정적 언어(칭찬·격려)는 학습자의 자존감 평균 4.23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반대로 부정적 언어(감정적 비난·단순 지적)는 2.75로 자존감을 현저하게 저하시켰다. 특히, 교육 참여 초기 학습자와 10대에서는 긍정적 언어와 정서적 지지가 자존감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장기 참여자 및 성인 학습자에게는 구체적이고 존중에 기반한 피드백이 자존감 유지 및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감정적 비난은 모든 연령층에서 학습 의욕 저하 및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단순한 칭찬보다는 진심 어린 피드백과 인격적 존중이 반영된 언어적 상호작용을 기대하고 있었으며, 자존감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사고와 꾸준한 연습을 통해 스스로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악 도제교육이 단순한 기능 전수를 넘어 심리·정서적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교육 모델임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교수자는 학습 단계와 연령을 고려하여 정서적 지지, 구체적 성취 피드백, 인격 존중을 균형있게 활용해야 한다. 본고는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와 학습자의 자존감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령 및 참여 기간에 따른 차별적 반응 양상을 통해 정교한 교육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자의 언어 사용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적 교육 프로그램의 도입과 감정적 지지를 포함한 통합적 교육 환경 조성이 요구된다. 본고는 국악 도제교육의 질적 향상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제 관계 형성과 심리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실천적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structor language on student self-esteem in the context of gugak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proposes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based on learners’ age and length of participation. An anonymou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2 individuals-includ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 learners-with experience in traditional gugak apprenticeshi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positive language by instructors (e.g., praise and encouragement) significantly enhanced student self-esteem (mean score: 4.23), whereas negative language (e.g., emotional criticism or simple reprimands) substantially reduced it (mean score: 2.75). Emotional support and positive feedback were particularly effective among early-stage learners and adolescents, while long-term and adult learn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specific and respectful feedback. Emotional criticism consistently triggere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and reduced learning motivation across all age groups.
Moreover, learners expressed a preference for sincere, specific, and respectful feedback over generic praise and demonstrated efforts to enhance their self-esteem through positive thinking and consistent practi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ugak apprenticeship education functions not only as a vehicle for skill transmission but also as an emotionally and psychologically interactive educational model.
Accordingly, instructors must tailor their language strategies based on learners’ developmental stag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balancing emotional support, goal-oriented feedback, and respectful communication.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instructor language and student self-esteem, emphasizing the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al strategies that consider age and training duration. Institutional implementation of language education and feedback 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ors is also recommended.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ugak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fostering student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growth,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healthy mentor-mentee relationships in traditional arts education.
목차
1. 서론
2. 논의의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6권 제2호 목차
- 김영재 해금독주곡 “계명곡(鷄鳴曲)” 연구 : 의성·의태 표현을 중심으로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화와 K-Pop 음악에 관한 탐구
-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 한·중 예술가곡 비교연구 - 작곡가 이수인과 스광난의 작품을 중심으로
- 과정평가형 국가자격제도를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자격제도 설계 연구: 학예사와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인천 고령 여성 예술가의 구술사와 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정책 제안
- 建國前夜(미군정기), 한국근대역도 개척자 서상천의 길 - 반공건국투쟁 활동을 중심으로
- 중국 ‘미니 웹 드라마’의 발전과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 탈진실(post truth)의 시대, 디지털 판옵티콘(panopticon)과 주체화의 문제
- 민요에 나타난 공동체성과 사회적 기능
-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 가야금병창 단가 객래문아흥망사 비교연구
- 음악리듬과 미술의 융합
- 기업과 지자체의 ESG 및 메세나 활동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제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 국악 도제교육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와 학생 자존감에 관한 연구
- 소곡(素谷) 윤광소(尹光紹)의 문학 연구
- 사열대 위의 권력: 높이, 방향, 발언의 정치
- 천연물 유래 항산화물질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후기 하이데거의 부정신학적-신비주의적 방법론과 그것의 존재사유적 의미 - 생태계위기의 극복과 동서양사유의 상호대화를 위한 기여가능성에 관련하여
-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 제도 안에서 제도 밖 실천가로 - 한 행정사의 생애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