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n the XiaoLing’Ci(小令詞) of the late BeiSong Dynasty(北宋末期)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홍병혜(Byunghye Hong)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549~5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기문인사(初期文人詞)를 기점으로 전문문인사(專門文人詞)를 지난 소령(小令)은, 북송(北宋) 시기의 안수(晏殊)·구양수(歐陽修)·안기도(晏幾道)를 거친 후, 더 이상의 우수한 사인(詞人)이나 걸작의 출현을 기대하기는 힘든 종점에 이르렀다. 또한 유영(柳永)과 소식(蘇軾) 등의 작가들이 만사(慢詞)인 장조(長調)를 다량으로 배출함으로써, 애초에는 사단(詞壇)의 대세였던 소령이 점차 만사로 인해 위축되었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체(詞體)는 점차 소령에서 장조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북송의 중·말기가 송사(宋詞)의 체재와 유파가 활발히 분열하고 극도로 번영했던 중요한 시기였음에도, 이러한 국면은 대략적인 조감일 따름이다. 당시의 사단을 주의 깊게 살핀다면, 송대(宋代) 멸망 직전까지 소령의 창작은 계속되었고, 간헐적으로 알찬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북송말기(北宋末期)의 주요 사인들은 소령의 종착지에서 그것을 고수함으로써, 결코 주류는 아니지만, 소령이 송대 마지막까지 지속 가능한 사체의 한 형식으로 자리매김하는 데에, 주요한 매개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고의 목적은 중국 사체의 토대였던 소령이 북송의 문학적 전변을 겪으면서 무력하게 추락한 것이 아닌, 안정적으로 착지해 끝까지 그것을 지속해서 실천한 사인들이 있었음에 주목하여, 그 최후의 면모와 자취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북송말기 소령의 주요 작가인 위부인(魏夫人)·이지의(李之儀)·장순민(張舜民)·중수(仲殊)·진극(陳克)을 차례로 고찰하며, 당시 소령사의 모습을 확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at the XiaoLing’Ci,(小令詞) which the foundation of Chinese Ci’literature(詞文學), did not disappear helplessly through the literary transformation of the time, but to recognize that there were Ciren(詞人) who persisted to the end and practiced it, and to grasp its traces and aspec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works of Wei Furen(魏夫人)、Li Zhi-Yi(李之儀)、Zhang Shun-Min(張舜民)、Zhong Shu(仲殊)、Chen Ke(陳克), the major writers of the late BeiSong Dynasty(北宋末期), in order to conform the appearance of poetry at that time. The contents of the study on the five Ciren are as follows. First, the XiaoLing’Ci of Wei Furen, in its lofty form, held to a euphemism. Second, the XiaoLing’Ci of Li Zhi-Yi was prominent in conceptions, based on simplicity that refrained from implication, and the use of light language、emotional language、plain language. Third, the XiaoLing’Ci of Zhang Shun-Min are narrated with disparaging emotion, and although they are not strong, they call for social contradiction and reform of character. Fourth, the XiaoLing’Ci of Zhong Shu are full of cosmetics smell, even though they are the works of monks, which proves that the mainstream of Ci’literature at that time was the Ci’literature and he was no exception. Fifth, the XiaoLing’Ci of Chen Ke inherited Wen Tingjun(溫庭筠)’Ci, but Wen Tingjun’Ci is colorful and rich in color, while Chen ke’Ci pure and light. The above five Ciren can be seen to have continued their works rich in personality based on the tradition of previous XiaoLing’Ci.

목차

1. 시작하며
2. 북송말기 소령사의 추락과 착지
3. 마치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병혜(Byunghye Hong). (2025).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인간과자연, 6 (2), 549-570

MLA

홍병혜(Byunghye Hong).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인간과자연, 6.2(2025): 549-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