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n the Early Forms of Korean Christian Music : Focusing on the Period from before 1800 to the 1900s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정민진(Min Jin Jeong)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175~19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와 그 전개 과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에서 기독교 음악이 정착하는 과정은 개신교와 가톨릭의 전래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가톨릭 음악은 18세기 후반 조선에 천주교가 유입되면서 형성되었으며, 개신교 음악은 19세기 말 개항 이후 선교사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가톨릭 음악의 초기 형태는 1779년 주어사(走魚寺) 강학 이후 창작된 「십계명가」, 「천주공경가」 등의 천주가사(天主歌詞)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조선 후기 학자들이 서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종교적 가르침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노래로, 한국 전통음악의 가락에 가사를 붙여 부르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특히 최양업 신부(1821-1861)는 조선 민요 선율에 종교적인 가사를 입혀 노래하는 ‘노가바’(노래 가사 바꿔 부르기)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전통은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개신교 음악은 1885년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와 언더우드(Horace G. Underwood)의 내한 이후 찬송가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선교사들은 예배와 신앙 교육을 위해 서양 찬송가를 번역하여 보급했으며, 1890년대부터는 한글 가사가 포함된 찬송가집이 출판되었다. 이후 개신교 찬송가는 서양음악과 한국적 요소가 결합하는 과정을 거치며 점차 토착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를 가톨릭과 개신교 음악 전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국악과 결합된 기독교 음악의 토착화 과정과 그 특징을 조명한다. 이를 통해 한국 기독교 국악곡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규명하고, 근대 한국 음악사에서 기독교 음악이 갖는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arly form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Christian music in Korea from the late 18th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formation of Christian music in Korea followed different trajectories depending on how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were introduced. Catholic music began to take shape with the introduction of Catholicism in the late 18th century, while missionaries actively brought in Protestant music after the opening of port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early Catholic repertoire includes Cheonjugasa (Catholic devotional songs), such as “The Ten Commandments Song” and “Song of Reverence for the Lord,” composed after the 1779 study gathering at Jueosa (走魚寺). These songs, written by Joseon scholars influenced by Western Learning (Seohak), conveyed religious teachings by setting new lyrics to traditional Korean melodies. Father Choi Yang-eop (1821-1861) actively promoted the use of nogaba, a method of adapting folk tunes with Christian lyrics, a practice that continued into the early 20th century. Protestant music developed around hymns following the arrival of Henry G. Appenzeller and Horace G. Underwood in 1885. Missionaries translated Western hymns for worship and education, and by the 1890s, hymnals with Korean lyrics were published. Over time, Protestant hymnody became indigeniz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Western musical structures with Korean linguistic and cultural ele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early development of Catholic and Protestant musical traditions, analyz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indigeniz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It aims to clarify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Korean Christian music and reassess its place with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music.

목차

1. 서론
2. 한국 기독교 초기 음악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3. 한국 기독교 국악곡의 초기 전개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민진(Min Jin Jeong). (2025).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인간과자연, 6 (2), 175-194

MLA

정민진(Min Jin Jeong).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인간과자연, 6.2(2025): 175-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