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이용수  0

영문명
The Narrative of Sound and Emotion: Musical Expressions of Desire and Power in the The King and the Clown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김세은(Se-Eun Kim) 홍성규(Sung-Kyoo Hong)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135~17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준익 감독의 영화 <왕의 남자>(2005)를 대상으로 하여, 영화음악이 인물의 욕망과 권력의 서사 구조를 어떻게 구축하고 감정의 층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한국 사극영화에서 음악은 주로 분위기 조성의 보조적 수단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본 논문은 음악이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적극적인 내러티브 구성요소로서 기능함을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Claudia Gorbman(1987)의 내재적 음악(Diegetic music)과 외재적 음악(Non-diegetic music)의 이론적 구분을 분석틀로 활용하였으며, 그 내부에서 작동하는 경계음악(Borderline music) 개념을 보조적으로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내·외재적 음악의 교차와 전환을 정밀히 분석하고, 인물 간 관계 변화, 감정 흐름, 권력 이동이 음악을 통해 어떻게 청각적으로 조직되는지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장생·공길·연산군이라는 세 인물 각각은 고유한 음악적 상징과 구성으로 표상되며, 관계적 역학 변화에 따라 음악적 구성이 유기적으로 변주됨이 확인되었다. 장생은 전통 타악기의 리드미컬한 내재적 음악을 통해 민중성과 풍자의 신명을 구현하고, 공길은 대금과 일렉기타, 불협화음 등을 통해 젠더적 경계성과 유동적 욕망의 감정선을 나타낸다. 연산군은 아악과 서양식 스트링 오케스트레이션의 대조적 사용을 통해 권력의 위계와 붕괴를 음악적으로 재현한다. 특히 줄타기 장면에서는 내·외재적 음악의 결합으로 권력의 붕괴와 감정의 절정을 압축적으로 표현하며, 첼로의 저음역 선율과 바이올린의 주선율 교체가 비극적 정서를 극대화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왕의 남자>는 한국 전통음악과 서양 오케스트레이션이 복합적으로 융합된 청각적 내러티브를 구축하고 있으며, 한국 사극영화에서 전통음악의 현대적 재구성과 정동적 권력서사의 청각적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음악 내러티브 연구에 있어 실증적 분석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전통음악의 영화적 재전유, 감정 서사의 청각적 조직 방식, 그리고 정동적 내러티브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music constructs narrative structures of desire and power and articulates emotional layers in the Korean historical film The King and the Clown(2005), directed by Lee Joon-ik. While traditional historical dramas in Korean cinema have often relegated music to a secondary, atmospheric function, this research reveals that music in The King and the Clown functions as an active narrative agent that expresses character psychology, mediates shifts in power, and enhances the emotional arc of the storyline. Adopting Claudia Gorbman’s (1987) framework of diegetic and non-diegetic music, supplemented by the auxiliary concept of ‘Borderline music,’ this study provides a close reading of the film’s audio-narrative structure. The analysis demonstrates how sound organizes character relations and ideological tensions through the interplay between on-screen performance and extradiegetic scoring. Three major characters-Jangsaeng, Gong-gil, and King Yeonsan-are each marked by distinct musical motifs: Jangsaeng is underscored by rhythmic traditional percussion reflecting satire and resistance; Gong-gil is framed through delicate flute timbres, guitar dissonances, and suspended tonalities that suggest gender ambiguity and repressed desire; and Yeonsan is characterized by a dichotomy of Confucian court music (aak) and the dramatic intrusion of Western string orchestration to express psychological unraveling and power collapse. Furthermore, the narrative’s spatial structure-spanning from the courtyard to the palace, and ultimately to the symbolic tightrope-triggers musical transitions that reflect emotional intensification and political inversion. Notably, the tightrope scenes illustrate the convergence of diegetic and non-diegetic sound: the first performance emphasizes dynamic traditional percussion, while the climactic final sequence features the main theme first introduced on the daegeum, later taken up by violin and cello to emphasize tragic resonance. By examining the auditory orchestration of affect, identity, and political dynamics, this study argues that The King and the Clown exemplifies a recontextu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in modern cinematic language. It demonstrates how film music, through sonic hybridity, functions not merely as accompaniment but as a key semiotic system that actively constructs and reshapes the emotional and ideological grammar of Korean historical cinema. The findings offer a foundational model for future research into traditional music’s appropriation in contemporary visual narratives and extend the analytical horizon of film music studies in the Korean context.

목차

1. 머리말
2. 영화 <왕의 남자>의 개요 및 선행연구
3. 욕망과 권력의 음향 기호: 내재적 음악 분석
4. 감정의 서사 표현으로서 외재적 음악 분석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은(Se-Eun Kim),홍성규(Sung-Kyoo Hong). (2025).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인간과자연, 6 (2), 135-173

MLA

김세은(Se-Eun Kim),홍성규(Sung-Kyoo Hong).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인간과자연, 6.2(2025): 135-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