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I-ching philosophical meaning of preface 「DaeYeokSeo」 in JeongYeok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임병학(Byeong-Hak Lim)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439~4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正易』의 서문인 「大易序」의 역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정역』의 학문적 명제를 3가지로 논하였다. 첫째, 易道는 曆數라고 하여 『周易』에서 卦象으로 밝힌 것과 대비되고 있다. 둘째, 易學은 성인에 의해 저술된 聖人의 학문임을 밝히고 있다. 셋째, 처음 태초의 역학과 미래에 오는 역학을 통해 성인의 天命을 논하였다. 제3장에서는 『주역』을 지은 복희씨를 知天의 성인으로 文王을 樂天의 성인으로 공자를 親天의 성인으로 논하였다. 또 공자는 학문의 종장이고 맹자는 정치의 종장으로 인류의 영원한 스승이라 하였다. 제4장에서는 ‘一夫事實’과 ‘一夫事蹟’을 통해 김항은 자신의 학문연원이 천지부모인 化无翁에 있음과 진리의 자각은 스스로의 노력이 自力과 神이나 上帝의 도움이 함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정역』은 『주역』을 철저히 계승하여, 그 동안 『주역』에 감춰진 正易八卦圖와 河圖·洛書 그리고 360일 期數 등의 이치를 밝힌 한국역학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preface of the 「DaeYeokSeo(大易序)」 in JeongYeok(正易). Chapter 2 discusses three academic propositions of the JeongYeok. First, it contrasts the fact that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is a calendar(曆數) with the Providence of Guàxiàng(卦象) in the I-ching(Book of Changes). Second, it clarifies that the I-ching is a study of the sage written by the sage. Third, it discusses the sage’s destiny through the changes of the beginning and the changes to come in the future. Chapter 3 discusses wrote the Fuxi as the sage who knows heaven(知天), King Wen as the sage who enjoys heaven(樂天), and Confucius as the sage who loves heaven(親天). It also states that Confucius is the ultimate scholar of learning, Mencius is the ultimate politician, and they are the eternal teachers of mankind. In Chapter 4, through ‘IlBuSaSil(一夫事實)’ and ‘IlBuSaZeok(一夫事蹟)’, KimHang can see that his academic origins are in HwaMuOng, the parent of heaven and earth, and that the realization of the truth is that one’s own efforts come together with self-power and the help of God or the Emperor. The JeongYeok is not a different study of Book of Changes from the I-Ching, but a Korean study of I-Ching that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JeongYeok’s eight trigram(正易八卦圖), the Hetu(河圖) Luoshu(洛書), and the 360-day period that were hidden in the I-Ching.

목차

1. 서론
2. 曆과 初初之易·來來之易
3. 聖人의 作易과 공자·맹자
4. 一夫事實과 一夫事蹟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병학(Byeong-Hak Lim). (2025).『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인간과자연, 6 (2), 439-463

MLA

임병학(Byeong-Hak Lim).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인간과자연, 6.2(2025): 439-4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