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ower on the Reviewing Stand: The Politics of Height, Direction, and Speech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김세훈(Sae-Hoon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635~65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군대 내 사열대(査閱臺)가 가지는 공간적·권력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사열대는 군대 조직에서 지휘관과 병사 간의 위계질서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주요 상징물로, 푸코(Michel Foucault)의 감시와 처벌 이론을 통해 그 기능과 상징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높이, 방향, 발언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사열대가 권력의 메커니즘을 어떻게 작동시키는지를 살펴본다. 첫째, 사열대의 ‘높이’는 지휘관의 권위를 물리적으로 강조하며, 병사들에게 지속적인 감시의 시선을 내면화하게 만든다. 둘째, ‘방향’은 지휘관과 병사 간의 시선을 구조화하여 권력 관계를 조직화하며, 이는 푸코의 판옵티콘 개념과 연결된다. 셋째, ‘발언’의 주체로서 지휘관은 권력을 행사하는 유일한 존재로 자리하며, 병사들은 침묵을 강요받음으로써 규율화된 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열대가 단순한 지휘 공간이 아니라 권력의 물리적 구현체이자 군사문화의 핵심적인 요소임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군대 내 공간적 권력 작동 방식을 규명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열대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spatial and power-related significance of the reviewing stand (査閱臺) in the military. The reviewing stand serves as a key symbol in military organizations, visually reinforc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commanders and soldiers. By applying Michel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 theory,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functions and symbolism of the reviewing stand.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s how the mechanisms of power operate through three perspectives: height, direction, and speech. First, the height of the reviewing stand physically emphasizes the authority of commanders, leading soldiers to internalize the gaze of constant surveillance. Second, direction structures the visual relationship between commanders and soldiers, organizing power dynamics an aspect closely related to Foucault’s concept of the panopticon. Third, the privilege of speech is monopolized by commanders, rendering them the sole agents of authority, while soldiers are forced into silence and thus shaped into disciplined subject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reveals that the reviewing stand is not merely a functional platform for command but a physical embodiment of power and a central element of military cultur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spatial mechanisms of power in the military and highlights the need to reconsider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reviewing stand.
목차
1. 서론
2. 푸코의 규율권력 이론
3. 연구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6권 제2호 목차
- 김영재 해금독주곡 “계명곡(鷄鳴曲)” 연구 : 의성·의태 표현을 중심으로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화와 K-Pop 음악에 관한 탐구
-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 한·중 예술가곡 비교연구 - 작곡가 이수인과 스광난의 작품을 중심으로
- 과정평가형 국가자격제도를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자격제도 설계 연구: 학예사와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인천 고령 여성 예술가의 구술사와 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정책 제안
- 建國前夜(미군정기), 한국근대역도 개척자 서상천의 길 - 반공건국투쟁 활동을 중심으로
- 중국 ‘미니 웹 드라마’의 발전과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 탈진실(post truth)의 시대, 디지털 판옵티콘(panopticon)과 주체화의 문제
- 민요에 나타난 공동체성과 사회적 기능
-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 가야금병창 단가 객래문아흥망사 비교연구
- 음악리듬과 미술의 융합
- 기업과 지자체의 ESG 및 메세나 활동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제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 국악 도제교육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와 학생 자존감에 관한 연구
- 소곡(素谷) 윤광소(尹光紹)의 문학 연구
- 사열대 위의 권력: 높이, 방향, 발언의 정치
- 천연물 유래 항산화물질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후기 하이데거의 부정신학적-신비주의적 방법론과 그것의 존재사유적 의미 - 생태계위기의 극복과 동서양사유의 상호대화를 위한 기여가능성에 관련하여
-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 제도 안에서 제도 밖 실천가로 - 한 행정사의 생애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