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ogok Yoon Kwang-so’s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이송희(SongHee Lee)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509~54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후기 충청 지역의 대표적 유학자이자 문인인 소곡(素谷) 윤광소(尹光紹, 1708~1786)의 문학 세계를 제문(祭文)과 애사(哀辭)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윤광소는 노성(魯城) 파평윤씨 문중의 예학 전통과 도학적 학맥을 계승하면서, 문학을 단순한 정서 표현의 수단이 아니라 유교 윤리의 실천과 문중 정체성의 정립을 위한 공공적 언어로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그의 문집 『소곡유고(素谷遺稿)』에 수록된 제문 22편과 애사 2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작품에 내재한 도학적 지향과 형상화 방식을 주제별로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윤광소의 제문과 애사는 죽음을 개인적 이별로 보지 않고, 도의(道義)와 도통(道統)의 관점에서 새롭게 의미화함으로써, 문중과 사문(師門)의 윤리 의식을 문학적으로 구체화하였다. 명재 윤증(明齋 尹拯), 경암 윤동수, 일암 윤동원 등 도학적 인물에 대한 제문에서는 성리학의 도맥 단절에 대한 자각과 그 계승의 책무를 문학 언어로 천명하였으며, 사우를 기리는 애사에서는 도학적 우정과 자기 수양의 정서를 절제된 문체 속에 담아내었다. 또한 가족과 종인을 추모한 글에서는 효제(孝悌)를 핵심으로 하는 문중 윤리를 구체화하였고, 역사적 인물에 대한 치제문과 묘갈명에서는 충절과 의리의 정신을 유교적 예학 관점에서 정립하였다.
윤광소의 문학은 도학적 실천의식을 바탕으로 제문과 애사의 전통 형식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였으며, 사적인 감정을 절제된 언어로 승화시켜 공동체 윤리와 시대적 사명을 담아낸 유교 문인의 공적 문장으로 기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문을 통하여 조선 후기 유학 문학이 어떻게 도학적 윤리와 공동체 서사를 문학적으로 구현하였는지를 밝히고, 윤광소 문학의 사상적·문학적 의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literary world of Sogok Yun Gwang-so (1708-1786), a distinguished Confucian scholar and wri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particularly on his funeral orations (jaemun, 祭文) and elegies (aesa, 哀辭). Yun, inheriting the ritualist and Neo-Confucian traditions of the Papyŏng Yun lineage based in Noseong, did not view literature as a mere vehicle for emotional expression. Rather, he employed it as a public medium for the practice of Confucian ethics and the affirmation of communal identity. Analyzing 22 jaemun and 2 aesa preserved in the Collected Writings of Sogok (Sogok Yugo, 素谷遺稿), this paper examines the thematic structures and literary strategies through which Yun articulated his moral ideals.
Yun’s funeral and memorial writings reinterpret death not as a private loss but as a moment for reaffirming dao (道義) and the continuity of the Confucian transmission of the Way (dotong, 道統). His commemorative writings for figures such as Myeongjae Yun Jeung, Gyeongam Yun Dong-su, and Iram Yun Dong-won express a profound awareness of the crisis of Neo-Confucian orthodoxy and a literary commitment to its preservation. In elegies for his fellow scholars, he renders Confucian friendship and self-cultivation within a restrained and dignified prose. Writings for family members and clan relations, grounded in filial piety (xiao, 孝) and fraternal duty (ti, 悌), express a moral vision rooted in communal ethics. Meanwhile, his commemorative inscriptions and state-commissioned sacrificial texts on historical figures convey a ritualist and doctrinal interpretation of loyalty and righteousness.
Yun Gwang-so’s literary practice is marked by a creative adaptation of traditional Confucian prose forms grounded in moral action. By transforming personal grief into public expression through stylistic restraint, his writings function as vehicles for the ethical imperatives and collective memory of his community.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seeks to elucidate how late Joseon Confucian literature gave shape to moral ideals and communal narratives, and to reassess the intellectual and literary significance of Yun Gwang-so’s contributions to the Confucian tradition.
목차
1. 서론
2. 소곡 윤광소의 생애와 문학적 환경
3. 도학적 실천과 공동체 윤리의 형상화
4. 문학적 전통과 도학적 표현의 정립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6권 제2호 목차
- 김영재 해금독주곡 “계명곡(鷄鳴曲)” 연구 : 의성·의태 표현을 중심으로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화와 K-Pop 음악에 관한 탐구
-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 한·중 예술가곡 비교연구 - 작곡가 이수인과 스광난의 작품을 중심으로
- 과정평가형 국가자격제도를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자격제도 설계 연구: 학예사와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인천 고령 여성 예술가의 구술사와 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정책 제안
- 建國前夜(미군정기), 한국근대역도 개척자 서상천의 길 - 반공건국투쟁 활동을 중심으로
- 중국 ‘미니 웹 드라마’의 발전과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 탈진실(post truth)의 시대, 디지털 판옵티콘(panopticon)과 주체화의 문제
- 민요에 나타난 공동체성과 사회적 기능
-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 가야금병창 단가 객래문아흥망사 비교연구
- 음악리듬과 미술의 융합
- 기업과 지자체의 ESG 및 메세나 활동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제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 국악 도제교육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와 학생 자존감에 관한 연구
- 소곡(素谷) 윤광소(尹光紹)의 문학 연구
- 사열대 위의 권력: 높이, 방향, 발언의 정치
- 천연물 유래 항산화물질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후기 하이데거의 부정신학적-신비주의적 방법론과 그것의 존재사유적 의미 - 생태계위기의 극복과 동서양사유의 상호대화를 위한 기여가능성에 관련하여
-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 제도 안에서 제도 밖 실천가로 - 한 행정사의 생애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