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17∼18세기) 훈련도감 설치의 군사력 강화 효과 분석: 군사제도 개혁과 실전 운용 평가

이용수  132

영문명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Hunryeondogam on Military Power in the 17th-18th Century Late Joseon Period: A Study of Military Institutional Reform and Combat Deployment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나승학(Seunghak Na)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6권 제2호, 333~36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후기 훈련도감(訓鍊都監)의 설립과 운영이 군사력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는지를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정태적·동태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정태적 분석은 병력 규모, 편제 개편, 무기체계 운영, 재정 투자 등 조직 구조와 자원 투입의 변화를 중심으로 하며, 동태적 분석은 훈련도감이 실제 전장에서 어떻게 기능했는지를 시간적 맥락 속에서 검토하는 방식이다.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5군영 체제를 정비하면서 훈련도감을 중심으로 전술 훈련 강화 및 『병학지남』 간행을 통한 훈련 체계화를 추진하였다. 분석 결과, 훈련도감은 조선 후기 정예군 양성의 핵심 조직으로 기능하며 군사력의 질적 향상에 일정 부분 기여하였으나, 18세기 이후 군사비 감소와 군역제도의 변질로 인해 군사력 유지 효과는 점차 약화되었다. 특히 병력 충원 구조와 급료 체계는 재정 기반과 밀접히 연관되며, 병사 숙련도와 훈련 지속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선정벌, 수도 방위 등 실전 사례에서는 훈련도감의 조직적 기여는 있었으나 작전 주도권이나 전술 운용 능력은 제한되었고, 『병학지남』의 전술 체계도 실제 전장에서는 효과적으로 구현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훈련도감의 실질적 역할과 군사제도의 성과·한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현대 군사력 평가 방식과 비교함으로써 조선 후기 군사제도 개혁의 역사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군사제도사 중심의 기존 접근을 넘어, 조직 구조와 작전 기능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정태·동태 이중 틀을 적용함으로써 실증적 평가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틀은 향후 조선의 다른 군영이나 동아시아 군사제도 비교 연구로 확장 가능하며, 군사사 연구의 통합적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군사력의 질적 수준과 제도 지속성 간 연계를 중시한 본 연구는 현대 국방 정책 연구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s whethe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Hunryeondogam(Military Training Comm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national military power. To this end, both static and dynamic analytical frameworks are employed. The static analysis focuses on troop size, organizational reforms, weapons systems, and fiscal inputs, while the dynamic analysis investigates battlefield performance over time. Following the Imjin War and Manchu Invasion, the Joseon government reorganized its military into the Five-Army Command system and established the Hunryeondogamas a core tactical training unit, supported by the publication of Byeonghakjinam. In the 17th century, the Hunryeondogamplayed a vital role in producing elite forces and enhancing readiness. However, its influence declined in the 18th century due to budget cuts and a weakened conscription system, which negatively impacted recruitment, training continuity, and operational capacity. While the Hunryeondogamsupported operations such as the Naseon campaigns and capital defense, it lacked tactical autonomy and struggled to apply standardized doctrines in real combat. This study compares the Hunryeondogamto modern frameworks of military power evaluation, offering historical insights into institutional reform. It further proposes a methodology that integrates military structure with operational function, applicable to future research on Joseon military units and East Asian military systems. By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institutional sustainability and qualitative force development, the study also contributes to contemporary defense policy and reserve force reform.

목차

Ⅰ. 서론
Ⅱ. 군사력 평가시 군사제도에 관한 논의
Ⅲ. 군사제도가 군사력에 미치는 영향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승학(Seunghak Na). (2025).조선 후기(17∼18세기) 훈련도감 설치의 군사력 강화 효과 분석: 군사제도 개혁과 실전 운용 평가. 인문사회과학연구, 26 (2), 333-361

MLA

나승학(Seunghak Na). "조선 후기(17∼18세기) 훈련도감 설치의 군사력 강화 효과 분석: 군사제도 개혁과 실전 운용 평가." 인문사회과학연구, 26.2(2025): 333-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