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카프카와 조이스에서 소외의 서술 전략 : 침묵과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Silence and Irony : Narrative Strategies of Alienation in Kafka and Joyce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이강훈(Kangho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2호, 791~8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소설가로서 카프카와 조이스는 모두 소외를 예술가의 창작 조건으로 인식하는 동시에, 이를 작품의 주요 주제로 다루었다. 카프카는 고독한 공간에서 순수한 글쓰기의 영역을 추구했으며, 조이스 역시 스티븐의 미학 이론을 통해 자발적 고립과 소외를 창작 조건으로 보았다. 두 작가는 또한 소외를 극화하는 과정에서 아이러니한 글쓰기 전략을 사용했는데, 카프카의 경우 이는 주체의 침묵과 타자의 서사적 우위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주체는 타자의 관점에 의해 왜곡된 모습으로 드러나며, 침묵으로 저항하거나 타자의 관점을 회피함으로써 더욱 깊은 고립과 소외의 세계로 도피한다. 반면, 조이스는 소외를 인물 설정과 주제로 확장하고, 특히 상반되는 관점과 목소리를 통해 타자의 세계를 해체한다. 이와 같은 두 작가의 글쓰기 특징은 현대 문학과 소외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As modern novelists, both Kafka ands Joyce recognized alienation as a creative condition for artists and at the same time treated it as the main theme of their works. Kafka pursued the realm of pure writing in a solitary space, and Joyce also viewed self-imposed isolation and alienation as a creative condition through Stephen’s aesthetic theory. They also use ironic writ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dramatizing alienation, which in Kafka’s case appears in the form of the subject’s silence and the other’s narrative priority. Accordingly, the subject is revealed as distorted by the other’s perspective, and the subject resists with silence or escapes into a world of even deeper isolation and alienation by avoiding the other’s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Joyce expands alienation into character settings and themes, and especially dismantles the other’s world through opposing perspectives and voices. These characteristics of writing that the two authors demonstrate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issue of modern literature and alienation.
목차
Ⅰ. 서론
Ⅱ. 소외와 예술창작의 조건
Ⅲ. 침묵의 아이러니: 카프카의 경우
Ⅳ. 조이스와 전복적 서술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주지역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타당성 제안 연구
- 청년의 회복탄력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유형 연구 : 청소년의 말하기 방식을 중심으로
- 청년이 인식한 외로움과 디지털 중독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정신적 웰빙의 매개된 조절효과
- 간호대학생의 해외 단기 연수 참여 경험 : Colaizzi 분석방법
- 가족친화제도 잠재계층유형이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이 노인복지서비스 인지를 매개로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남성노인의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의 조절효과
- 아버지 역할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영화를 활용한 문화 중점 수업에 관한 연구 :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 영화 시나리오 작성 방법의 오류와 수정
- K-pop 팬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과 팬 커뮤니티 동일시의 조절효과
- 갤러리카페의 체험 요소가 재방문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신체 관용어 대조 연구
-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 이수 운영 사례연구
- 카프카와 조이스에서 소외의 서술 전략 : 침묵과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 기억의 공간에서 교육의 장으로 : 해외 사례를 통한 한국 기념관의 역할 연구
- 재중 서양인은 서양 세계에 어떻게 중국을 전파했는가? : 이야기집의 저자, 출판사, 삽화에 대하여
- 1990년 한국-체코슬로바키아 수교의 협상과정과 의미
- 한국-폴란드 방위산업 협력의 동인과 전망 : 공격적 현실주의와 상호의존 이론을 중심으로
- 군 다문화정책 발전 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 3군(軍) 내 시행 현황과 기술적 평가를 중심으로
- 조직구성원의 직무복잡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긴장, 피로와 직무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진로 관련 필수 이수 교과의 개설 동향 및 방향성 탐색
- 한국과 세계 제7권 2호 목차
- 지역문화자원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전시 개선 방안 : 박차정 의사 생가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 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의 수행 동향 연구 : MDG 및 SDG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 시민교육으로서의 장애인 건강권 교육 모델 개발 연구 : 다학제간 융복합 관점으로
- 청년층의 지역환경인식이 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역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년기 발달과업에 대한 강화요인으로서의 자아정체감과 미래지향목표 :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 트럼프 1기 대통령실 주요 문서 분석 및 2기 정책방향 조망에의 함의
- 초기 성인기의 삶의 의미가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죽음수용의 조절효과
- 기술매체시대 문화콘텐츠의 양상과 연구 방법
-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행복감, 삶의 만족도 관계 :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생성형 AI 시대 관광산업의 미래 전망과 시사점에 따른 대응방안
- 코끼리 유배지 장도(獐島)를 둘러싼 관광 스토리텔링 개발방안
- 『82년생 김지영』 인도네시아어 번역본 : 페미니즘 번역의 시선으로 읽기
-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에 의한 국내 한류 연구 동향 분석
- 국제 평화와 윤리적 공존의 교육적 연계성 : 칸트, 하버마스, 누스바움의 관점을 중심으로
- 물의 권력 게임 : 하이드로 헤게모니와 남북 공유하천의 협력과 갈등
- 주거환경과 행복의 관계에서 가구소득의 매개효과
- 허가받지 못한 미래 : 미등록 이주아동의 성인기 전환과 이후의 삶
- 적자재정과 공공부채에 관한 현대통화이론의 시각과 함의
- How Do AI-Driven Digital Human Tour Guides Shape Visitors’ Emotions and Cultural Identity : A Combined Perspective of New Technology and Social Actor Characteristics
- The KAL 858 Incident in 1987 and the Stances of the ROK, the US, and Japan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광주지역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타당성 제안 연구
- 청년의 회복탄력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유형 연구 : 청소년의 말하기 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