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의 수행 동향 연구 : MDG 및 SDG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5

영문명
Trends in Korea’s Education ODA Projects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DG and SDG periods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김선정(Seonjeong Kim) 조원겸(Wongyum Jo)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2호, 83~10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의 가치를 조명하고, MDG 및 SDG 시기를 기준으로 프로젝트의 수행 동향 및 경향성을 비교 고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KOICA 오픈데이터포털을 통해 총 1,065건의 교육 프로젝트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수행연도, 지역, 국가, OECD DAC마커 기준에 따른 양적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ODA 프로젝트의 주제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명에 대한 형태소분석과 네트워크텍스트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교육ODA 프로젝트는 MDG시기에 급격한 양적 증가를 보였으나, SDG시기에는 증가세가 둔화되며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중점 지원 지역은 아시아에서 아프리카로 점차 이동하고 있었으며, 양 시기 모두 베트남이 최대수혜국이었다. 또한, 마커의 사용빈도가 SDG 시기부터 크게 증가하였으며, 성평등 이슈에 대한 개입 수준이 높은 편이었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직업훈련원 구축 사업 중심에서 인적자원의 역량강화사업 중심으로 전환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양 시기에 걸쳐 직업, 기술, 대학 관련 프로젝트가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 교육ODA가 글로벌교육목표와 큰 틀에서 일관된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MDG시기의 세부 수행 방향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현재는 SDG4.3, 4.4, 4.c 목표 달성에 특히 주목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 of South Korea’s educational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and analyze long-term trends during the MDG and SDG periods. Using the KOICA Open Data Portal, and quantitative trend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implementation year, region, country, and OECD DAC markers. Morphological and Network Text nalyses were also performed to capture thematic trends.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educational ODA projects increased rapidly during the MDG period, they declined in the SDG period, averaging 60 projects annually. Beneficiaries shifted from Asia to Africa, with Vietnam remaining the top recipient, and the use of DAC markers and engagement with gender equality increased. Additionally, project themes transitioned from infrastructure-focused to human resource capacity building, with sustained interest in vocational, technical, and higher edu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South Korea’s educational ODA aligns with global goals, implementation differed in the MDG period, whereas the SDG period emphasized sub-goals such as SDG4.3, SDG4.4, and SDG4.c.

목차

Ⅰ. 서론
Ⅱ. 교육ODA 프로젝트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정(Seonjeong Kim),조원겸(Wongyum Jo). (2025).한국 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의 수행 동향 연구 : MDG 및 SDG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2), 83-109

MLA

김선정(Seonjeong Kim),조원겸(Wongyum Jo). "한국 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의 수행 동향 연구 : MDG 및 SDG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2(2025): 83-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