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AI 시대 관광산업의 미래 전망과 시사점에 따른 대응방안
이용수 2
- 영문명
- Response Measures Based on the Future Outlook and Implications of the Tourism Industry in the Era of Generative AI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강희래(Heerae Kang) 이웅규(Woong Ky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2호, 495~52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AI 시대에 AI에 의한 관광산업의 미래 전망과 시사점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관광산업 분야 중 어떤 분야의 일자리가 대체되고, AI로 인해 관광산업의 노동시장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대응방안을 문헌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생성형 AI 시대의 관광산업의 미래 전망과 시사점을 요약하면서 AI로 인한 관광산업 일자리 대체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직업 전환 지원, 창의적 업무 개발, 산업-교육 연계 강화, 사회 안전망 강화, AI 윤리 및 규제 도입, 재정적·기술적 중소기업 지원 등으로 제안하였다. 이론적으로는 AI 기술이 관광산업의 고용 구조와 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노동시장 변화 모델을 발전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AI 기술 도입에 따른 직업 훈련, 재교육 프로그램 및 산업 변화에 맞는 규제와 지원 정책을 마련해 노동시장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정책 대응방안과 관광기업은 AI 활용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도 고용 감소에 따른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future prospects of the tourism industry in the era of generative AI, focusing on job displacement and labor market transformation.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affected areas and assess AI's impact on employment structures. The study proposes policy measures to mitigate AI-driven job losses, including job transition support, development of creative roles, industry-education collaboration, social safety nets, AI ethics and regulations, and SME support. Theoretically, it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AI's impact on employment and industrial productivity. Practically, it highlights the need for job training, reskilling, and regulatory policies to balance labor market shifts while encouraging tourism enterprises to adopt AI responsibly.
목차
Ⅰ. 서론
Ⅱ. 생성형 AI 시대의 이해
Ⅲ. 관광산업 분야별 미래 전망
Ⅳ. 고찰과 전망에 따른 시사점 도출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주지역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타당성 제안 연구
- 청년의 회복탄력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유형 연구 : 청소년의 말하기 방식을 중심으로
- 청년이 인식한 외로움과 디지털 중독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정신적 웰빙의 매개된 조절효과
- 간호대학생의 해외 단기 연수 참여 경험 : Colaizzi 분석방법
- 가족친화제도 잠재계층유형이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디지털 기기 활용이 노인복지서비스 인지를 매개로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남성노인의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사용의 조절효과
- 아버지 역할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영화를 활용한 문화 중점 수업에 관한 연구 :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 영화 시나리오 작성 방법의 오류와 수정
- K-pop 팬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과 팬 커뮤니티 동일시의 조절효과
- 갤러리카페의 체험 요소가 재방문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신체 관용어 대조 연구
-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 이수 운영 사례연구
- 카프카와 조이스에서 소외의 서술 전략 : 침묵과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 기억의 공간에서 교육의 장으로 : 해외 사례를 통한 한국 기념관의 역할 연구
- 재중 서양인은 서양 세계에 어떻게 중국을 전파했는가? : 이야기집의 저자, 출판사, 삽화에 대하여
- 1990년 한국-체코슬로바키아 수교의 협상과정과 의미
- 한국-폴란드 방위산업 협력의 동인과 전망 : 공격적 현실주의와 상호의존 이론을 중심으로
- 군 다문화정책 발전 방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 3군(軍) 내 시행 현황과 기술적 평가를 중심으로
- 조직구성원의 직무복잡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긴장, 피로와 직무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진로 관련 필수 이수 교과의 개설 동향 및 방향성 탐색
- 한국과 세계 제7권 2호 목차
- 지역문화자원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전시 개선 방안 : 박차정 의사 생가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 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 프로젝트의 수행 동향 연구 : MDG 및 SDG 시기 비교를 중심으로
- 시민교육으로서의 장애인 건강권 교육 모델 개발 연구 : 다학제간 융복합 관점으로
- 청년층의 지역환경인식이 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역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년기 발달과업에 대한 강화요인으로서의 자아정체감과 미래지향목표 :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 트럼프 1기 대통령실 주요 문서 분석 및 2기 정책방향 조망에의 함의
- 초기 성인기의 삶의 의미가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와 죽음수용의 조절효과
- 기술매체시대 문화콘텐츠의 양상과 연구 방법
-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행복감, 삶의 만족도 관계 :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생성형 AI 시대 관광산업의 미래 전망과 시사점에 따른 대응방안
- 코끼리 유배지 장도(獐島)를 둘러싼 관광 스토리텔링 개발방안
- 『82년생 김지영』 인도네시아어 번역본 : 페미니즘 번역의 시선으로 읽기
-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에 의한 국내 한류 연구 동향 분석
- 국제 평화와 윤리적 공존의 교육적 연계성 : 칸트, 하버마스, 누스바움의 관점을 중심으로
- 물의 권력 게임 : 하이드로 헤게모니와 남북 공유하천의 협력과 갈등
- 주거환경과 행복의 관계에서 가구소득의 매개효과
- 허가받지 못한 미래 : 미등록 이주아동의 성인기 전환과 이후의 삶
- 적자재정과 공공부채에 관한 현대통화이론의 시각과 함의
- How Do AI-Driven Digital Human Tour Guides Shape Visitors’ Emotions and Cultural Identity : A Combined Perspective of New Technology and Social Actor Characteristics
- The KAL 858 Incident in 1987 and the Stances of the ROK, the US, and Japan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광주지역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타당성 제안 연구
- 청년의 회복탄력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유형 연구 : 청소년의 말하기 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