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BTI를 활용한 융합형 교양교과목 연구 -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68
- 영문명
- MBTI Personality Type-Based AI Robot Ethics Curriculum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한정규(Jeong-Gyu Han) 홍준성(Jun-Sung Hong) 허혜연(Hye-Yeon Huh)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1호, 299~31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BTI 성격유형과 인공지능로봇 윤리’ 교양교과목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그리고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동의대학교에서 해당 교과목을 수강한 64명의 학생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정보수집, 경청, 창의적 의사소통, 자기 드러내기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특히 정보수집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협력적 자기조절은 인지적, 행동적, 동기적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이며, 팀 활동과 시나리오 기반 학습이 협력적 자기조절 변화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인공지능 윤리의식은 안정성 및 신뢰성, 차별금지, 로봇의 권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그중 차별금지 영역에서 가장 큰 차이가 확인되었다. 반면, 고정관념적 사고 극복과 주도적 의사소통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일부 성격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스타일의 차이가 원인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교양교과목이 학생들의 의사소통과 협력적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하고, 인공지능 기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과 이해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제언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se whether a liberal arts course on ‘MBTI personality types and AI robot ethics’ brings about positive changes in communication skills, cooperative self-regulation, and AI ethics awar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at Dong-A University, and the changes were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communication skills in the areas of information gathering, listening, creative communication, and self-disclosure, with the largest change in information gathering.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cognitive, behavioural, and synchronous domains, demonstrating that team activities and scenario-based learning are effective in changing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AI ethics awarenes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tability and reliability, anti-discrimination, and robot rights, with the largest difference in anti-discri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overcoming stereotypical thinking and assertive communication,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tyles of some personality types may be responsible. This study suggests that liberal arts cours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s well as increasing their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of ethical issues in AI technology.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BTI를 활용한 융합형 교양교과목 연구 -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 독서토론대회 토론모형 및 평가 개선을 위한 전문가 면담 연구
- 『훈민정음』 <제자해> 서두의 철학적 사유에 대한 고찰
- 대학생 학습자의 고쳐쓰기 과정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교정 양상에 대한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목차
- 웹소설 플랫폼을 사용한 창작 동화 교육의 학생 수용과 만족도
- 기초문해교육 이상의 영어 교육 - 내용중심 교양영어 수업을 통한 자유학예 교육 실현 사례
- Effects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on Student Outcomes in a General English Blended Learning Course : Gender, Class Level, and Personality Type
- ‘생성형 AI’의 창의적 활용을 통한 글쓰기 교육과정 개발
- 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Formats on Emotional Response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EFL Courses : A Comparative Study of Real-time vs. Pre-recorded Classes
- 한국 소설에서 나오는 ‘없다’구문과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의존명사 없다’를 중심으로
-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 포스코 지속가능경영과 ESG 수업을 중심으로
- 젠더 관점의 데이터 리터러시 융합교육 사례 연구 - E 대학교 <빅데이터와 젠더>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이념으로서 행복
- 1980년대 대학 교양교육 실태에 대한 성찰 - 교양교육 평가와 연구를 중심으로
- 『삼한습유』를 활용한 고전문학교육 방안 연구
- 가다머와 랑시에르의 관점을 적용한 문학 고전 읽기 교육
- 영어 비교과 운영을 통한 학업성취와 핵심역량 제고 연구 - K 대학교의 영어 비교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인문 고전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상호교류적 자세히 읽기 수업 모형 개발
- 전공자율선택제와 지속가능한 교양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