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소설에서 나오는 ‘없다’구문과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의존명사 없다’를 중심으로

이용수  7

영문명
A Study on the ‘Eopda’ Construction in Korean Novels and Its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Chinese : Focusing on the Dependent Noun Usage of ‘Eopda’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양혜아(Hui Ya Liang) 조윤경(Yun Kyoung Jo)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67~18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의존명사는 한국어 명사의 특징의 하나이지만 중국어에는 의존명사라는 개념이 없어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의존명사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토론 커뮤니티인 도우반(豆瓣)의 연간 독서 베스트셀러를 참고하여 선정한 한국 소설 세 편에서 나타나는 ‘의존명사 없다’ 표현을 중심으로 소설에서 나타나는 각 의존명사를 분류한 후 후행 서술어 ‘없다’를 붙이고 한국어 원문과 중국어 번역본을 대조하여 통사적인 구조와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소설에서 의존명사가 있는 문장은 총 529개였고, 6개 의존명사 ‘수’, ‘것’, ‘적’, ‘데’, ‘리’, ‘바’의 다양한 형태가 확인되었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선행요소+의존명사 ‘것’+후행요소’라는 기준으로 후행 서술어 ‘없다’와의 결합 양상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원문을 중국어 번역문과 대응시켜 각 의존명사의 통사적 구조와 형태적인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언어 학습하는 과정에서 더욱 효과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한국어 문장에서의 ‘의존명사 없다’와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두 언어 간의 의존명사나 부정 표현에 대해 언어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Dependent nouns are a distinctive feature of Korean grammar; however, as this concept does not exist in Chinese, it poses significant challenges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ression “dependent noun + 없다” by analyzing its usage in three Korean novels selected from the annual bestseller list on the Chinese platform Douban (豆瓣). A total of 529 sentences containing dependent nouns were identified, showcasing diverse forms of six key dependent nouns: ‘수’, ‘것’, ‘적’, ‘데’, ‘리’, and ‘바’. Drawing upon prior research, the study adopts the structural framework of “preceding element + dependent noun ‘것’ + following element”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ombinatory patterns with the predicate ‘없다’. Furthermore, the Korean original texts are juxtaposed with their Chinese translations to compare and analyze syntactic structures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By elucidating the linguistic interplay between “dependent noun + 없다” in Korean and its Chinese equivalents, this study seeks to enhance the pedagogical understanding of negation and dependent noun expressions, ultimately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more effectiv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ailored to Chinese learn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소설에서 나타나는 ‘의존명사 없다’ 표현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혜아(Hui Ya Liang),조윤경(Yun Kyoung Jo). (2025).한국 소설에서 나오는 ‘없다’구문과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의존명사 없다’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 (1), 167-182

MLA

양혜아(Hui Ya Liang),조윤경(Yun Kyoung Jo). "한국 소설에서 나오는 ‘없다’구문과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의존명사 없다’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1(2025): 167-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