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웹소설 플랫폼을 사용한 창작 동화 교육의 학생 수용과 만족도
이용수 13
- 영문명
- Students' Acceptance of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on Creative Children's Stories Using a Web Novel Platform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호(Ki-Ho Kim) 안의진(Ui-Jin Ah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1호, 205~2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날로그 창작 동화 텍스트를 디지털 웹으로 문서화 하여 플랫폼에 업로드를 하는 아날로그의 디지털 전환교육이 학생들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어떠한 정서적 만족감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유용도와 만족도가 미래 디지털 도구의 사용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도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용도’의 면에서 학생들은 웹소설 플랫폼의 사용 가치(4.0/5)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의 면에서도 학생들은 웹소설 플랫폼의 심리적 충족감(3.9/5)을 높게 표현하였다. 셋째 ‘유용도’와 앞으로의 ‘사용의도’의 관계, 그리고 ‘만족도’와 앞으로의 ‘사용의도’의 관계를 살핀 결과 ‘유용도’와 ‘사용의도’ 사이의 관계는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만족도’와 ‘사용의도’ 사이의 관계는 유의도가 낮았다. 학생들은 플랫폼의 유용성을 인식하는 것을 원인으로 하여 미래에도 결과적으로 플랫폼을 계속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유의미하게 나타냈다. 그러나 플랫폼 사용에 따른 만족을 원인으로 하여 미래에도 결과적으로 플랫폼을 계속 사용하겠다는 의지는 의미 있게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창작 동화의 플랫폼 게시 활동에서 플랫폼과 웹의 장점을 계속 수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플랫폼과 웹에 대해 갖는 심리적 부담감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담감은 ‘자기 글 공개에 대한 거부감’, ‘부정적 댓글에 대한 두려움’, ‘공개되는 만큼 완벽해야 한다는 부담감’ 등이다. 이들 부담감은 모두 심리적인 요인이다. 그러므로 창작 동화 교육에서 플랫폼과 웹의 장점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부담을 완화하는 웹(Web) 사용성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ransformation education from analog to digital, which documents creative children's stories in analog formats into digital web and uploads them on a platform, is accepted by students and satisfies them emotionally. The study also sets out to examine how their acceptance and satisfaction react to the use of digital tools in the futur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gave a high rating to the use value(4/5) of a web novel platform in the aspect of “utility”; second, they showed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3.9/5) with a web novel platform in the aspect of “satisfaction”; third, the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utility” and “intention for future use” and between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future use” and found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utility” and “intention for use” and no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use.” Students recognized the utility of a platform, thus showing their willingness to keep using a platform in the future. However, they had no willingness to keep using a platform in the future for their satisfaction with using one; and finally, there was a need to mitigate students' psychological resistance to a platform and web so that they would continue to accept the advantages of a platform and web in the activity of uploading their creative children's stories on a platform. Resistance includes “rejection to making public their stories,” “fear for negative comments,” and “burden with writing perfect stories to make public them.” All of such resistance is psychological, which raises a new fact that these psychological resistance factors should be alleviated for the continuous use of a platform and web in education on creative children's stories.
목차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방법론
4. 웹소설 플랫폼을 사용한 창작 동화 교육의 학생 수용과 만족도
5. 웹소설 플랫폼의 사용자 인식·심리에 따른 사용성 향상 방안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BTI를 활용한 융합형 교양교과목 연구 -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 독서토론대회 토론모형 및 평가 개선을 위한 전문가 면담 연구
- 『훈민정음』 <제자해> 서두의 철학적 사유에 대한 고찰
- 대학생 학습자의 고쳐쓰기 과정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교정 양상에 대한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목차
- 웹소설 플랫폼을 사용한 창작 동화 교육의 학생 수용과 만족도
- 기초문해교육 이상의 영어 교육 - 내용중심 교양영어 수업을 통한 자유학예 교육 실현 사례
- Effects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on Student Outcomes in a General English Blended Learning Course : Gender, Class Level, and Personality Type
- ‘생성형 AI’의 창의적 활용을 통한 글쓰기 교육과정 개발
- 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Formats on Emotional Response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EFL Courses : A Comparative Study of Real-time vs. Pre-recorded Classes
- 한국 소설에서 나오는 ‘없다’구문과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의존명사 없다’를 중심으로
-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 포스코 지속가능경영과 ESG 수업을 중심으로
- 젠더 관점의 데이터 리터러시 융합교육 사례 연구 - E 대학교 <빅데이터와 젠더>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이념으로서 행복
- 1980년대 대학 교양교육 실태에 대한 성찰 - 교양교육 평가와 연구를 중심으로
- 『삼한습유』를 활용한 고전문학교육 방안 연구
- 가다머와 랑시에르의 관점을 적용한 문학 고전 읽기 교육
- 영어 비교과 운영을 통한 학업성취와 핵심역량 제고 연구 - K 대학교의 영어 비교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인문 고전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상호교류적 자세히 읽기 수업 모형 개발
- 전공자율선택제와 지속가능한 교양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