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Formats on Emotional Response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EFL Courses : A Comparative Study of Real-time vs. Pre-recorded Classes

이용수  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정명희(Cinthia M. Cho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09~12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COVID-19 팬데믹은 온라인 학습으로의 급격한 전환을 초래하였으며, 특히 대학교 교양 영어와 같은 EFL 학습에서 다양한 디지털 교육 형식이 학습자들의 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야 하는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온라인 학습 형식(실시간 수업과 사전 녹화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초기 정서적 반응(불안, 자신감, 학습 의지)을 조사하고, 이러한 정서적 요인과 학업 성과 지표(출석률 및 시험 점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교양 영어 수업에 등록한 127명의 학생들로부터 수집되었으며, 학기 초에 실시된 온라인 설문조사에 총 86명(응답률 68%)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사전 녹화 수업 학생들보다 낮은 불안 수준과 더 높은 영어 사용 의지를 보였다. 두 그룹 간의 자신감 수준은 유사했으나, 실시간 수업의 출석률이 유의미하게 높아 실시간 상호작용이 더 강한 책임감과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반면, 사전 녹화 형식은 유연성과 자율적인 학습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석률과 참여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온라인 EFL 교육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교육자들이 각 형식의 강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전 녹화 수업에는 상호작용 요소(토론 게시판, 협업 프로젝트)를 포함시켜 동기 부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참여 점수 가중치 부여나 필수 참여 과제를 포함한 평가 방식을 도입하면 사전 녹화 형식에서도 출석률과 참여를 더 유도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동기 요인인 정서적 반응과 학생 참여를 온라인 학습 환경 설계에서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실시간 수업이 즉각적인 피드백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 참여를 촉진할 수 있다면, 사전 녹화 수업은 동기 및 참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강화된 출석 평가방법 등의 추가적인 구조적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OVID-19 pandemic necessitated a rapid transition to online learning, highlighting the need to evaluate the impact of various digital education formats on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especially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within college general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explores students’ initial emotional responses—anxiety, 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engage—across two online learning formats: real-time and pre-recorded classes. It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motional factors and academic performance, including attendance rates and exam scores. Data were collected from 127 students enrolled in general English courses, with 86 students (68% response rate) completing an online survey administered at the start of the semester.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in real-time online classes reported lower anxiety levels and higher willingness to use English outside the classroom compared to those in pre-recorded classes. Although confidence levels were similar across both groups, attendance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eal-time classes, suggesting that synchronous interaction fosters a stronger sense of accountability and engagement. Conversely, pre-recorded formats, while offering flexibility and self-paced learning, were associated with feelings of isolation and lower motivation, particularly among students who require more structured guid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al-time classes can enhance engagement through structured activities and community-building opportunities. Pre-recorded courses, on the other hand, could benefit from incorporating interactive elements such as discussion boards, live Q&A sessions, or collaborative projects to address motivational challenges.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motivational factors, such as emotional responses and student engagement, when design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particularly in asynchronous settings. The results suggest that real-time classes can foster better academic engagement through immediate feedback and interaction, while pre-recorded courses may need more structural support to maintain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명희(Cinthia M. Chong). (2025).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Formats on Emotional Response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EFL Courses : A Comparative Study of Real-time vs. Pre-recorded Classes. 교양교육연구, 19 (1), 109-127

MLA

정명희(Cinthia M. Chong). "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Formats on Emotional Response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EFL Courses : A Comparative Study of Real-time vs. Pre-recorded Classes." 교양교육연구, 19.1(2025): 109-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