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젠더 관점의 데이터 리터러시 융합교육 사례 연구 - E 대학교 <빅데이터와 젠더>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용수 25
- 영문명
- A Case Study of Gender-Sensitive Data Literacy Education: Focusing on the Course at E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아(Euna Lee)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1호, 251~26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데이터 사회에서 젠더 관점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을 강조하며, E 대학교의 <빅데이터와 젠더> 교과목을 사례로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의 편향성은 알고리즘과 인공지능에 반영되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할 수 있으며, 특히 젠더 편향은 여성과 소수자 집단의 목소리를 약화시키고 차별을 심화시킬 수 있다. 젠더 관점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은 데이터를 단순히 기술적으로 해석하고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데이터에 내재된 편향성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해 사회변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성인지 통계와 교차성 개념을 기반으로 젠더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모델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교육적 접근을 탐구한다. <빅데이터와 젠더> 교과목은 젠더에 대한 이론 교육과 성인지 통계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실습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생들이 젠더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데이터의 편향성을 인식하고, 성평등한 데이터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비판적 사고와 분석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gender-sensitive data literacy education in the digital society through an action research analysis of the course “Big Data and Gender” at E University. Data bias can be embedded in algorith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producing social inequalities. In particular, gender bias can marginalize the voices of women and minority groups, further deepening discrimination. Therefore, gender-sensitive data literacy education goes beyond the technical util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it fosters critical awareness of biases and problematic patterns inherent in data, encouraging its use as a tool for social change. This study presents a gender data literacy education model based on gender-disaggregated statistics and the concept of intersectionality, exploring educational approaches to address social inequalities. The “Big Data and Gender” course consisted of theoretical lessons on gender and practical sessions using gender statistics for data analysis. The course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and understand data from a gender perspective, recognize biases, and enhance their critical thinking and analytical skills to contribute to building a more gender-equal data society.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젠더 데이터 리터러시를 위한 <빅데이터와 젠더> 교양 수업 사례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BTI를 활용한 융합형 교양교과목 연구 -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조절, 인공지능 윤리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학 독서토론대회 토론모형 및 평가 개선을 위한 전문가 면담 연구
- 『훈민정음』 <제자해> 서두의 철학적 사유에 대한 고찰
- 대학생 학습자의 고쳐쓰기 과정에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 교정 양상에 대한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목차
- 웹소설 플랫폼을 사용한 창작 동화 교육의 학생 수용과 만족도
- 기초문해교육 이상의 영어 교육 - 내용중심 교양영어 수업을 통한 자유학예 교육 실현 사례
- Effects of Background Characteristics on Student Outcomes in a General English Blended Learning Course : Gender, Class Level, and Personality Type
- ‘생성형 AI’의 창의적 활용을 통한 글쓰기 교육과정 개발
- 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Formats on Emotional Response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EFL Courses : A Comparative Study of Real-time vs. Pre-recorded Classes
- 한국 소설에서 나오는 ‘없다’구문과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의존명사 없다’를 중심으로
- 산학협력 기반 사회문제해결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 포스코 지속가능경영과 ESG 수업을 중심으로
- 젠더 관점의 데이터 리터러시 융합교육 사례 연구 - E 대학교 <빅데이터와 젠더> 교과목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 이념으로서 행복
- 1980년대 대학 교양교육 실태에 대한 성찰 - 교양교육 평가와 연구를 중심으로
- 『삼한습유』를 활용한 고전문학교육 방안 연구
- 가다머와 랑시에르의 관점을 적용한 문학 고전 읽기 교육
- 영어 비교과 운영을 통한 학업성취와 핵심역량 제고 연구 - K 대학교의 영어 비교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인문 고전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상호교류적 자세히 읽기 수업 모형 개발
- 전공자율선택제와 지속가능한 교양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