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초문해교육 이상의 영어 교육 - 내용중심 교양영어 수업을 통한 자유학예 교육 실현 사례

이용수  30

영문명
Beyond Basic Literacy Education : A Case Stud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Content-Based English Course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오은주(Eun-Jou Oh) 안태연(Tae Youn Ah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29~14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양영어 강좌에서 자유학예 교육의 목표(e.g., 균형잡힌 가치관 정립, 비판적 사고력 배양, 공동체 의식 함양)를 내용중심 언어학습을 통해 구현하는 실제 수업 사례를 보고함으로, 전통적인 기초문해교육을 넘어선 교양영어 수업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H대학의 체육 관련 전공 학생 86명을 대상으로 4가지 역량(세계시민성, 글로벌역량, AI 문해력, 자기주도적 영어학습능력) 개발을 목표로 하는 수업모형에 기반하여 스포츠 및 AI 현안을 주제로 교양영어 강좌를 설계하여 한 학기 동안 운영하였다. 자유학예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내용중심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설문, 성찰일지, 수업활동 결과물 등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 경험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첫째, 학생들의 전공과 연계하여 스포츠와 관련한 시의성 있는 주제를 바탕으로 강의를 구성한 것이 학습 동기와 몰입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 주제와 관련한 사회적·도덕적·윤리적 가치를 논의하는 협력적 토론 활동은 학생들이 다양한 관점을 나누고 설득력 있는 의견을 펼치는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도록 도와주었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 이슈에 대한 문제 인식을 확대해 나가는 데 있어서 영어가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하였다. 셋째, 다양한 AI 도구 활용은 AI 사용 자체에 대한 이해도와 능숙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AI의 한계와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인식도 높여주었으며, 무엇보다 자기주도적 영어학습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내용중심 언어학습과 AI 도구 활용과 같은 다중문해력 접근법에 기반한 교양영어 수업이 자유학예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교육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a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CLIL) approach to liberal arts English education, aiming to promote a balanced value system,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a sense of global citizenship—key goals of liberal education. The cours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one semester at a university in Seoul with 86 students majoring in sports-related fields. It focused on developing four competencies: global citizenship, global competence, AI literacy, and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skills. Based on the analysis of student surveys and reflective journal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revealed: (1) incorporating recent sports-related topics into the class enhanced students' motivation and engagement; (2) collaborative discussions on social, ethical, and moral issues fostered critical thinking and highlighted English as a valuable tool for expanding their awareness of global issues; and (3) the use of AI tools improved AI literacy, raised awareness of its limitations and ethical concerns, and supported English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LIL-based general English courses may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of liberal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은주(Eun-Jou Oh),안태연(Tae Youn Ahn). (2025).기초문해교육 이상의 영어 교육 - 내용중심 교양영어 수업을 통한 자유학예 교육 실현 사례. 교양교육연구, 19 (1), 129-146

MLA

오은주(Eun-Jou Oh),안태연(Tae Youn Ahn). "기초문해교육 이상의 영어 교육 - 내용중심 교양영어 수업을 통한 자유학예 교육 실현 사례." 교양교육연구, 19.1(2025): 129-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