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방비 소요 전망과 확보 대책
이용수 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전제국
- 간행물 정보
- 『KRIS 창립 기념논문집』KRIS 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757~808쪽, 전체 5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1
9,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존은 모든 생명체에게 ‘절대선’이다. 국방비는 국가 생존을 지켜내는데 필요한 비용이다. 그런 만큼 국방비는 국가경영의 양대축인 안보와 경제가 선순환 되도록 ‘안보위협정도’와 ‘재정적 부담능력’이 균형을 이루는 접점에서 결정되는 것이 정도(正道)이다. 21세기 복합적 안보위협과 복지소요 분출에 따른 재정적 압박을 동시에 고려하면, 국방비적정수준은 GDP 3% 정도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한국의 국방비 부담률은 1990년대부터 하향추세로 접어들어 2017년 현재 GDP 2.4%에 머무르고 있다. 이제 한국군은 눈앞의 군사전선을 넘기 전에 예산전선부터 넘어야 한다. 예산전선을 넘지 못하면 군사전선도 넘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한국군 앞에 놓인 예산전선의 실상을 재조명하고 이를 무사히 넘을 수 있는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일환으로, ‘전략-전력-예산의 연계구도’ 속에서 문제를 식별하고 해법을 모색할 것이다. 이는 장차 한국군이 국방자원의 제약조건하에서 싸워 이기려면, ‘창의적 전략이 있어야하고 전략개념에 맞는 전력구조와 예산소요가 뒤따라야 한다’는 기본명제에 근거한다.
영문 초록
Survival is an absolute good to all creatures. A nation state can survive and develop on the basis of solid security and prosperous economy. In the context, defense budgets should also be determined at the point where the level of military threat and the government's financing capacities are on an equilibrium. In light of the ever-rising security threats and fiscal constraints, the proper level of defense budgets would be 3.0% of GDP. However, the ratio of defense expenditure to GDP has been declining since 1990s and is now fixed at around 2.4% of GDP. From now on, therefore, the ROK forces must cope with fierce competition over budget allocation before it encounters the enemy on the battle front. This is because they cannot make a breakthrough in the battle front without overcoming budget constraints. Against such background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discrepancie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resource allocation for national defense and make policy recommendations to secure a proper level of defense budgets. In this regard, discussions over policy problems to alternatives are conceptualized by such a guiding principle that the military strategy determines the force structure, which in turn conditions budget requirements.
목차
Ⅰ. 서 론
Ⅱ. 국방비의 특성과 결정 원리
Ⅲ. 국방비 소요 판단
Ⅳ.국방비 배분 추세 및 전망
Ⅴ. 국방비 필수소요 ‘GDP 3%’ 확보 전략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머리말
- 아태지역 다자안보협력 제고를 위한 한국의 역할
- 통일대비 한·중관계 발전 방향
- 외교·국방·통일전략 최적화를 위한 제도적 정비방안
- 한·미·일 안보협력 제고방안
- 통일추구과정에서의 주요 외교·안보·국방분야 도전들
- 급변하는 통일환경과 바람직한 통일정책의 방향
- 한국 외교의 글로벌 요인과 과제
- 북한 핵보유 상황 하 한국의 신 군사전략 및 작전개념 발전 방향
-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전략
- 북한의 “핵위기·평화협정 연계전략”과 과도적 합의론의 도전
-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축 방안
- 국방비전, 국방목표 및 정책기조
- 국방개혁의 향후 방향과 과업
- 징병제와 모병제에 대한 고찰
- 국방비 소요 전망과 확보 대책
- 아시아 재균형에서 미국 우선주의로
- 통일 지향 한미 간 안보협력 방안
-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작권 조기 전환
- KRIS 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목차
- 민주화 이후 국방안보 담론투쟁과 전략적 대응 방안
- 북핵문제 해결 실패시 한국의 안보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