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방비전, 국방목표 및 정책기조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홍규덕
- 간행물 정보
- 『KRIS 창립 기념논문집』KRIS 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585~625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과거 정부들부터 현 정부까지 국방비전과 국방목표 및 정책기조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국방목표가 과거 보수정권과 진보정권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과연 신정부가 어떻게 이러한 전통을 유지시키면서 동시에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해나가기 위해 무엇을 보완해야 할지 살펴보고자 한다. 7월 19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주관부처별 100대 국정과제를 발표하며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국방부가 강한 안보와 책임국방을 전략으로 5대 핵심과제를 이행할 것을 제시했다. 본 논문은 대한민국이 직면한 주요 도전과제들을 식별한 후 국방차원에서 조명해야할 주요 질문들을 점검하며, 강한 안보와 책임국방을 구현하기 위해 신정부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점들을 조명한다. 통일이후를 대비한 장기적 비전이 필요하며 주변국 및 국민들에게 우리군의 건설적 역할에 대한 설득 노력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Defense Vision, Defense Goals, and Policy Guidelines. This study recognizes the fact that defense goal has never been changed throughout various administrations no matter how different its political orientations had be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e how the Moon government makes the best out of such worrisome situation. This study identifies key challenges and raises several questions that new government has to address. Recently, the Moon Government Advisory Council for Governance and Planning announced 100 tasks in which it recommends 5 tasks for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is study concludes that security planners of new administration pay attention to build long-term vision to persuade not only Koreans but also people in neighboring states that its military would play the constructive role to make the safer world.
목차
Ⅰ. 국방목표, 국방비전, 정책기조의 중요성
Ⅱ. 국방비전, 국방목표, 정책기조의 보완요소
Ⅲ. 국방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질문들
Ⅳ. 문재인 정부의 출범과 책임국방에 대한 기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머리말
- 아태지역 다자안보협력 제고를 위한 한국의 역할
- 통일대비 한·중관계 발전 방향
- 외교·국방·통일전략 최적화를 위한 제도적 정비방안
- 한·미·일 안보협력 제고방안
- 통일추구과정에서의 주요 외교·안보·국방분야 도전들
- 급변하는 통일환경과 바람직한 통일정책의 방향
- 한국 외교의 글로벌 요인과 과제
- 북한 핵보유 상황 하 한국의 신 군사전략 및 작전개념 발전 방향
-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전략
- 북한의 “핵위기·평화협정 연계전략”과 과도적 합의론의 도전
-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축 방안
- 국방비전, 국방목표 및 정책기조
- 국방개혁의 향후 방향과 과업
- 징병제와 모병제에 대한 고찰
- 국방비 소요 전망과 확보 대책
- 아시아 재균형에서 미국 우선주의로
- 통일 지향 한미 간 안보협력 방안
-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작권 조기 전환
- KRIS 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목차
- 민주화 이후 국방안보 담론투쟁과 전략적 대응 방안
- 북핵문제 해결 실패시 한국의 안보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