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축 방안
이용수 1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엄태암
- 간행물 정보
- 『KRIS 창립 기념논문집』KRIS 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545~58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에 대한 역내 국가들의 관심이 90년대 초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가운데 과연 이 지역에 다자간 안보협력체제의 구축은 어느 정도 가능성이 있을 것인지를 재평가하고, 접근 방법과 대비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우리 역대 정부의 다자안보협력 추진 경과를 평가하고, 현 단계에서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를 추진하기 위한 여건과 전략을 점검하는 부분도 포함되었다. 80년대 후반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30여 년 이상 간헐적으로 이어지는 다자안보협력 제안은 거기에 무언가 긍정적 요소가 있음을 나타내지만 결국 우리의 역량과 주변 정세를 면밀히 살피는 일이 우선임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다자협력의 장을 만드는 것과 실제 국가 간 이익과 안전이 저울질되는 협상의 장에서 국가 간 협력이 제도화되는 것은 다른 문제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부록에는 역대 다자안보협력체제 제안 연혁을 간단하게 <표>로 요약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reevaluate the possibility to construct a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North) East Asian region, where regional countries do not show less interest than the early 90s. In case there still are some possibilities, how should we approach and what are the tasks we should tackle? The article also includes the former governments' proposals and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and future strategies we should maintain, with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this region. The conclusion is that appraising our capabilities and security conditions should be on the top policy priorities because to make a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and to institutionalize one on the negotiating table where regional countries strive for their own interests and security are quite different. A chronology of regional states' proposals for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North) East Asian region is attached as an appendix.
목차
Ⅰ.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의 필요성
Ⅱ. 한국 역대 정부의 다자안보협력 추진 경과
Ⅲ.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추진 여건 및 전략 점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머리말
- 아태지역 다자안보협력 제고를 위한 한국의 역할
- 통일대비 한·중관계 발전 방향
- 외교·국방·통일전략 최적화를 위한 제도적 정비방안
- 한·미·일 안보협력 제고방안
- 통일추구과정에서의 주요 외교·안보·국방분야 도전들
- 급변하는 통일환경과 바람직한 통일정책의 방향
- 한국 외교의 글로벌 요인과 과제
- 북한 핵보유 상황 하 한국의 신 군사전략 및 작전개념 발전 방향
-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전략
- 북한의 “핵위기·평화협정 연계전략”과 과도적 합의론의 도전
-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축 방안
- 국방비전, 국방목표 및 정책기조
- 국방개혁의 향후 방향과 과업
- 징병제와 모병제에 대한 고찰
- 국방비 소요 전망과 확보 대책
- 아시아 재균형에서 미국 우선주의로
- 통일 지향 한미 간 안보협력 방안
-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작권 조기 전환
- KRIS 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목차
- 민주화 이후 국방안보 담론투쟁과 전략적 대응 방안
- 북핵문제 해결 실패시 한국의 안보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