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추구과정에서의 주요 외교·안보·국방분야 도전들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최강
- 간행물 정보
- 『KRIS 창립 기념논문집』KRIS 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21~5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향후 한국이 직면하게 될 외교안보여건은 과거 어느 때보다 불안정하고 복잡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의 위협은 다변화하고 더욱 심각해 질 것이며, 지역패권을 둘러싼 주변 강대국들 간의 갈등과 견제가 심화되며 한반도를 두고 지정학적 경쟁이 강화될 것이다. 또한 국내적으로도 여론이 분열되고 안보와 통일에 대한 관심이 저하되어 안보불감증이 팽배해지거나 안보상황에 대한 착시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한국이 고민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할 사항은 북한문제, 한미관계의 업그레이드, 한중관계의 새로운 모습 설정, 한일관계 및 한미일 안보협력의 지향점과 수준, 국제사회의 기대에 대한 충족, 국론결집과 효과적인 정책결정과 집행체계를 구축하는 일이다. 그 어느 하나 쉬운 것이 없다.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치밀하고 복합적인 대응전략을 구축하며 대외협력의 외연을 확장하여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통일의 대내외적 여건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을 그 어느 때보다 경주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e process of pursuing national unification, South Korea will be faced with more unstable and more complicated security environment than ever before. The most serious security challenge is ever-increasing and diversifying North Korean threats from WMD to possible regime collapse. The thing that makes North Korea challenge mo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deal with is the return of geopolitical rivalry among the surrounding great powers. Internally, people will become less interested in security issues and are more likely to be mis-led by false sense of security.
Under such security environment, South Korea must work hard to find ways to deal with the following issues: North Korean threats; strengthening and upgrading the ROK-US alliance; dealing with the rise of China; improving relations with Japan; meeting the expectation of international community regarding global concerns; expanding network of cooperation; establishing national consensus on security issues; and operating effective national control tower.
목차
Ⅰ. 외교·안보여건 평가와 전망
Ⅱ. 주요 이슈
Ⅲ.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머리말
- 아태지역 다자안보협력 제고를 위한 한국의 역할
- 통일대비 한·중관계 발전 방향
- 외교·국방·통일전략 최적화를 위한 제도적 정비방안
- 한·미·일 안보협력 제고방안
- 통일추구과정에서의 주요 외교·안보·국방분야 도전들
- 급변하는 통일환경과 바람직한 통일정책의 방향
- 한국 외교의 글로벌 요인과 과제
- 북한 핵보유 상황 하 한국의 신 군사전략 및 작전개념 발전 방향
-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전략
- 북한의 “핵위기·평화협정 연계전략”과 과도적 합의론의 도전
-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축 방안
- 국방비전, 국방목표 및 정책기조
- 국방개혁의 향후 방향과 과업
- 징병제와 모병제에 대한 고찰
- 국방비 소요 전망과 확보 대책
- 아시아 재균형에서 미국 우선주의로
- 통일 지향 한미 간 안보협력 방안
-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작권 조기 전환
- KRIS 창립 30주년 기념논문집 목차
- 민주화 이후 국방안보 담론투쟁과 전략적 대응 방안
- 북핵문제 해결 실패시 한국의 안보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BEST
-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 해방 이후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