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on Daily Living Skills of a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영준 김진호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491~51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은 장애학생이 성공적인 일상생활적응을 하는데 필요한 관련기술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일상생활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특수학급의 고등부에 다니는 지적장애학생 한 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에서 실시하는 교수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그 효과는 행동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목표행동인 일상생활기술은 대상학생의 교육 필요성에 따라서 현금인출기 이용기술, 마트이용기술, 가계부 기록기술의 세 가지 기술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은 대상학생과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관찰과 과제분석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수 기법은 지역사회중심 교수패키지로 구성하였는데, 직접교수, 비디오 모델링, 최소촉진법, 시간 지연법, 자기 점검, 토큰 강화 등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대상학생의 현금인출기 이용기술, 마트 이용기술, 가계부 기록기술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득된 기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그리고 일반화 측정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교수 관점에서 논의되었으며, 특수교육현장에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Daily living skills are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skills for successful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mmunity-based training i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omote community integration and adult life adjustment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and/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on daily living skills for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 was a high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target behaviors(dependent variables) were three daily living skills, which were using ATM banking machine, making expenditures in the market, and keeping basic financial records. The community-based training program used a packa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task analysis, behavior chaining, direct instruction, prompting, modeling, etc. The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both in community sites and a classroom of a education center located in an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three target skills were increased and maintained successfully. The newly acquired skills were also generalized. Thes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transition perspectiv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