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Error Analysis of Writing i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y Diary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유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433~45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오류 분석을 통하여 쓰기를 평가하고 이러한 평가결과를 통해 쓰기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초등학생과 중학생 22명의 일기문을 수집하여 쓰기지식에 대한 평가를 통해 오류를 분석하고 해당하는 예문을 직접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각장애 학생에서 다양한 글쓰기 오류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청각장애 학생의 글쓰기 오류분석과 예문 제시는 그들의 글쓰기 특성을 이해하고 문어학습을 위한 지도방안을 세우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by error analysis and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s in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he errors of writing in the diaries of 22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analysed for the analysis of writing knowledge. The analysis was done after rewriting of the diaries with Hangul 2007(Haansoft Corporation . Korea). Evaluation tool for writing knowledge contains 5 knowledge of language and 4 knowledge of text context. The results of writing knowledge evaluation were illustrated with the examples from the subjects. There were many kinds of error types in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showed high error rate in the use of sentence structure, sentence symbol, postposition of the knowledge of language, and in the proper use of conjunctive, contents structure, vocabulary of the knowledge of text context. The results and the examples of the error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in practices and developments of teaching methods in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청각장애 학생의 글쓰기 분석
Ⅳ.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