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Changes in Childrens Self-esteem and Problem Behavior through Group Playtherapy Activities: Focused on neglected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오미경 이수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237~2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들에게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적용으로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증진 및 문제행동의 감소와 그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아동학대예방 종합보호센터에 신고된 초등학교 2,3학년 아동 3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 아동 및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였으며, 측정도구와 함께, 매 회기마다 아동의 행동변화를 질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별 과정에서 아동들은 목소리가 커지고 표정이 밝아지는 모습을 보였으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받아들이고 수용하였으며, 공격적, 위축, 방어적인 성향들이 감소하고 경쟁적이고 활동적인 모습들이 증가하는 등 자신의 가치와 성취감이 증가되었다. 둘째, 집단놀이치료 활동 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집단놀이치료 활동 후 아동들의 문제행동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외현화 문제보다 내재화 문제에서 더 많은 감소를 나타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놀이치료활동이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의미 있는 활동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pply a group play activity program to neglected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to see whether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correcting their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neglected children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examined by measuring and comparing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ly maladjusted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group playtherapy activity program was composed of various play elements including physical, fine art and musical plays that can resolve children’s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atic behaviors, and play activities presented to the children we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goal of each step. The group playtherapy activity program was applied through 12 sessions, and each session was composed of relaxing activities (15 minutes), structured activities (30 minutes) and discussion (15 minutes), so a total of 60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each session, children got a positive view of themselves and experienced improved value of self and sense of accomplishment. Second, after the treatment, the average scores of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increased in children. Third, after the treatment, there is positive effects in 3children. Fourth, after treatmen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decreased, particularly internalization-related problems more than externalization-related proble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