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pecial Education Practice Teacher's Major Experiences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남진 강병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215~2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의 실습 일기를 통해 특수교사 양성 대학에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하고 있는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있었던 이들의 주된 경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수교원 양성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5월 한 달 동안 현장교육실습을 경험한 경남 소재 모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4학년 39명을 대상으로 실습 기간 동안 무형식의 실습 일기를 작성하게 했으며,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현장교육실습 동안 예비특수교사들은 주로 수업 및 문제행동과 관련된 경험을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과 관련한 구체적인 하위 경험으로는 동기 유발, 발문, 수업시간 배분, 학생들의 참여 유도 방법 그리고 연구수업에 관한 것 등이었다. 문제행동과 관련한 하위 경험으로는 문제행동에 대처하는 방법과 현직 교사들의 문제행동 대처 방법에 대한 회의감 등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육실습생들의 경험이 교직과 교사의 자질에 대해 반성해 보는 계기를 제공하는 긍정적 측면도 갖고 있지만 동시에 이론과 실제의 괴리, 자신의 역량 등에 대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역기능도 갖고 있음을 다시 한 번 주지시켜 준다. 이에 교육실습생들의 고민을 토대로 현장교육실습의 긍정적 기능은 보다 극대화시키고 부정적 측면의 기능은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는바, 교육실습기관의 사전 선정 및 유기적 관계 형성, 교육실습의 준비과정 및 사후교육을 교육과정에 포함하는 것이 필요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experiences of practice teachers during a 4 week's teaching practicum for senior students in an university training futu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o that it may provide information to train excellent teachers. For this purpose, 39 seni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at an university located in Gyeongnam province were asked to write an informal practice journal during the month of May when they experienced the teaching practicum, and the data from the journals were analyzed interpreta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actice teachers experience about class teach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Detailed experiences regarding class teaching included motivation, introductory remarks, dividing teaching time, deriving student's participation, and open classes. Experience about behavior modification were method of using behavior modification and skepticism of in-service teacher's use of behavior mod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form us that the experiences of practice teachers not only provide a chance to reflect on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s qualification, but it also has adverse effect of focusing on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and of acting negatively on their own ability.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the ways should be sought to maximize the positive functions, and to minimize the negative functions of, teaching practicum, on the bases of the worries of practice teachers. It also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practice teaching schools in advance and mak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m and to include advance preparation and ex post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teaching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