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Disabled Students' Bullying Disabled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오원석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167~1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괴롭힘의 유형은 신체적, 언어적, 정서적 폭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통합학급에 재학하는 장애학생 183명과 비장애학생 183명이며, 연구도구는 Holzbauer(2008)이 개발한 도구를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 절차를 거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교 폭력 피해 정도는 비장애학생에 비하여 언어적, 정서적 폭력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학교급에 있어서는 초등학교에서의 폭력 빈도가 중․고등학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관련 변인에 따라서는 장애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외모적 특성은 학교 폭력 빈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much disabled students were bullied by non-disabled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categorized bullying into physical, verbal, and emotional violence. Total 183 disabled students were surveyed in inclusive classroom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long with total 183 non-disabled students. The scale developed by Holzbauer(2008) was translated and put to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As a result, the disabled students became the objects of verbal and emotional violence more than the non-disabled ones in the inclusive classrooms. The frequency of violence was greater in elementary school than middle and high school. As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disabled students,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were highly close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violence in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