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Having Handicapped Children Enrolled in Special Class on Inclusiv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기흥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형태와 개방형 질문을 작성하여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특수학급배치 시 주요 상담대상 및 결정요인, 통합교육의 의미와 효과, 통합교육의 개념이해와 문제점 및 개선책 등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면담자료를 분석하여 연구문제와 관련된 3개의 주제와 아울러 7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개별면담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특수학급 배치 결정시에 장애아 부모는 심한 스트레스를 가지며, 상담대상으로는 부부, 독단적으로 혹은 주변의 조언에 의존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입급의 주요 결정요인으로는 학습적인 면보다는 특히 사회성이나 대인관계기술을 습득하려는 인식이 매우 강하였다. 통합교육이 장애아에게 미치는 가장 중요한 면은 주로 모방학습을 통한 사회성, 대인관계기술의 습득 등을 꼽는 반면에, 통합교육을 통한 비장애아동의 입장에서 얻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대부분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의 개념 이해에서는 주로 장애아와 비장애아가 서로 어울리고 함께 살아가는 것을 배우는 사회성 함양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통합교육의 문제점으로는 매우 다양한 요인들을 지적했는데, 무엇보다도 통합학급교사와 비장애아 부모의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 부족한 중재역할 등을 가장 흔하게 꼽았다. 특히 통합반 교사의 자질이나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장애아동이 수업이나 학교활동에서 배제 및 차별현상을 지적하였다. 이것은 더 나아가서 장애아부모들은 특수반 교사와는 달리 통합학급 교사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거리가 상당히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반 교사의 연령층과 관련하여 젊은 연령층보다는 4, 50대 통합반 교사에 대하여 훨씬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통합교육의 문제에 대한 개선책으로는 특히 통합학급교사, 예비교사, 비장애아부모 및 비장애아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이 가장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통합반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보조교사의 증강 등 행정적 지원, 장애아부모교육 및 상담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parents who currently have disabled children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special class regarding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purpose, semi-structured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made for disabled children's parent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primary counseling partners on assignment of special class, decisive factors, meaning and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problems, and possible improvements of integrated education, etc. Based on the analysis of collected interview materials, three subjects and seven sub-subjects related to the questions were derived. Most of all,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 interviews revealed that on assignment of special class, disabled children's parents received extreme stress and sought advices from their spouses or someone around them, or decided solely. The primary factor that influenced decision on entrance to special class had strong co-relation with purpose of acquiring sociability or interpersonal skills rather than purpose of learning. The parents also perceived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 children was the acquirement of sociability and interpersonal skills through imitating, but on the contrary they perceived that there was no direct effect that disabled children achieved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of the conceptof integrated education, they understood it as fostering of sociability, namely, learning how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live in harmony. Many various factors were replied as problems of integrated education, among which negative perception and attitude of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non-disabled children's parents and insufficient mediation were the most selected. They perceived that especially, due to qualification of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their lack of perception, disabled children were excluded or discriminated from class or school activity. This founding further revealed that disabled children's parents had psychologically far distant relation with integrated class teachers rather than special class teachers. Moreover, with regard to age of integrated class teachers, teachers in the forties and fifties were more negatively evaluated than young teachers. As for possible solutions, the research showed that it was most imperative to implement education that could improve perception of integrated class teachers, would-be teachers, non-disabled children's parents, and disabled children. Along with it, the study also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vide incentives for integrated class teachers, provide administrative supports such as reinforcement of teachers' aides, and to enhance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disabled children's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흥. (2010).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2 (4), 1-29

MLA

김기흥.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2.4(2010):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