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이용수  0

영문명
Exploration of Utility for Korean Translation of the Childhood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박은영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335~35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글로 번안한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ildhood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CHAQ)를 뇌성마비 학생을 대상으로 평가하고 CHAQ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표준 번안 과정에 따라 CHAQ를 한글로 번안하고, 6~16세 뇌성마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CHAQ, 대동작 기능 분류 체계, 대동작 기능을 측정하였다. CHAQ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각 하위 영역의 적용할 수 없음으로 평가한 비율, 천정 효과와 바닥 효과가 나타난 비율을 제시하였다. 문항내적합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알아본 결과, 옷 입기와 몸단장하기의 α = .887, 먹기의 α = .880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 영역에서 .90 이상 인 것으로 나타나, CHAQ의 신뢰도는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동작 기능 분류 체계 및 대동작 기능과의 상관은 통증의 시각 유추 척도를 제외하고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문항내적합치도와 대동작 기능과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난 결과를 통해 한글로 번안한 CHAQ는 뇌성마비 학생의 건강 상태 평가에 유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글로 번안한 CHAQ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측면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밝히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utility for Korean translation of the Childhood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K-CHAQ) through the examin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is instru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or this, CHAQ was translated to Korean according to guidelines for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The K-CHAQ, Gross Motor Classification System (GMFCS),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was measured in 72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participants was range of age from 6 to 16 years old. The data of 'not applicable' was low rate. The floor effect appeared in the subscale of Arising, and the floor effect and ceiling effect emerged in Waling. The subscale of Reach and Grip showed the floor effect and Hygiene and Activity displayed the ceiling effect. The Cronbach's coefficient alpha was good for the subscale of the K-CHAQ. The subscales of K-CHAQ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MFCS and GMFM except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of pain. The K-CHAQ was considered in assessment of health statu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based on reliability and correlation with gross motor function. In further research, various reliabilities and validities of the K-CHAQ was examined for the increasement of ut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영. (2010).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특수아동교육연구, 12 (4), 335-353

MLA

박은영.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특수아동교육연구, 12.4(2010): 335-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