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Vision Performance Questionnaire(FVPQ) for Discovery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in Mainstream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태훈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51~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를 발견하기 위한 선별도구인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학교에 재학중인 안전수동 이상부터 0.6 이하의 시력을 가진 72명의 저시력 아동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FVPQ의 신뢰도는 2개 문항을 제거하였을 때 전체 Cronbach α .97, 4개 하위 영역 모두 .90 이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을 준거변수로 한 FVPQ와의 상관계수는 .64와 .71로 비교적 높았고, FVPQ 전체와 하위 영역 간의 상관계수도 .88 이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FVPQ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를 문항 평균과 문항 통과율로 확인한 결과 2개 문항을 제외하고는 시각장애 여부에 대한 난이도와 변별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원거리 시력 0.04 이하와 0.05 이상 아동 집단 간에 척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FVPQ는 시각장애 의심 아동에 대한 반응성(선별력)이 있는 검사도구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the Functional Vision Performance Questionnaire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 total of 72 children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handmotion to 0.6 were sampled from school for the blind. The result were as follows:Firs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FVPQ was high(Cronbach α=.97), as removed 2 items. And internal consistency for the FVPQ subscales ranged from 0.91 to 0.94. Second, the validity was assessed as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The criterion variable was vision acuity according to related literature. Distance acuity and near acuity had a high correlation with FVPQ total and factor scores. Also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VPQ total and subscale were greater than .88. Thir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FVPQ items indicated that the 2 items were detected as non-differential item of risk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So it seems that the FVPQ is responsive to screening a risk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