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ypography for Improving the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홍성두 박상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373~3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해서 타이포그래피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타이포그래피는 문자에 의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문자의 배열상태나 레이아웃이나 디자인을 말하는데, 이는 장애학생들의 학습자 특성에 맞게 적절한 교재의 형식을 제공하여 장애학생들의 읽기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포그래피와 관련하여 타이포그래피의 개념과 타이포그래피의 기초개념인 시각적 사고의 개념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타이포그래피 연구가 특수교육분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타이포그래피 연구는 시각적 자극, 추상개념의 형상화, 웹페이지 구축, 유니버셜 디자인, 교과서 및 교재 구성 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es about typography for improving the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ypography is the art, craft and techniques of type design, modifying type glyphs, and arranging type. Type glyphs (characters) are created and modified using a variety of illustration techniques. The arrangement of type is the selection of typefaces, point size, line length, leading (line spacing) and letter spacing. As reviewing related studies on typography published in national/international journals, we wer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visual thinking and concept of typography.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시각적 사고의 개념과 장애학생의 시지각 특성
Ⅲ. 타이포그래피의 이해
Ⅳ. 타이포그래피가 특수교육 분야에 주는 시사점 탐색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