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Practical Strategies of AAC Intervention Principl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한경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4호, 75~9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의사소통 수단으로 AAC 체계를 적용하고자 하는 교사에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 상반기까지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AAC 중재 연구들을 선정하여, 어휘 선정 방법, 중재 방법, 그리고 평가 방법을 분석하고 각 영역별로 주요 원리와 구체적인 적용의 사례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AAC를 위한 의사소통 어휘 선정 시에는 면담, 관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적 맥락에서 필요한 어휘, 학생의 흥미와 선호를 반영한 어휘, 발달적 수준 및 교육과정을 고려한 어휘를 선정한다. 중재 방법으로는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환경을 계획적으로 조성하고, 직접 교수, 적절한 반응과 촉진, 대화상대자 중재를 실시한다. AAC 적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행동의 향상 정도뿐만 아니라 언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발달 정도를 함께 평가한다. 이와 같이 도출된 일반적 원리들은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need AAC system for communication. A total of 28 experimental studies on AAC intervention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0 were selected, and major principles were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way of vocabulary and communication contents,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valuation factors.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interests and preference as well as developmental level were considered in selecting communication contents. For the intervention strategies, planned communication facilitated environment, direct instruction, appropriate response and prompting, and communication partner instruction were necessary.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linguistic, affective, and social developmental level were evaluated for AAC intervention effects. These principles were then interpreted into more concrete techniques for teachers to apply them into real classroom situa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efforts were suggested with discussion on the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괴롭힘 특성에 관한 연구
- 아동 건강 평가 질문지(CHAQ)의 타당성 검증
- 꼴라쥬를 활용한 일반유아와의 협력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언어능력, 대인관계 및 주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장애학생의 읽기를 위한 타이포그래피 연구 개관
- 게임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유아의 자발적 언어 표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놀이치료 활동을 통한 한부모 가족 방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체계 중재 원리의 실제적 적용 방안 탐색
- 현장교육실습 기간 중 특수교육전공 교육실습생들의 주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전담어린이집 학부모의 가족지원 요구조사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 다문화가정 유아동 자녀의 언어구사에 관한 실태조사
- 발달장애 학생의 다중지능 유형
- 장애아동 부모의 동반의존성 연구
-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독해와 이야기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교사 소양 역량의 요인 분석과 자기 평가
-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 특성 비교
- 청각장애 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쓰기 오류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기술능력 비교
- 일반학교에서 시각장애아 선별을 위한 기능적 시각수행도 평정 척도(FVPQ)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