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voding Factors of middle School Teacher's Being Charge of Inclusive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현경 황순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4호, 403~41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을 행정상, 생활지도상, 학급 경영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지원방안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울산의 중학교 일반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를 평균차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학급 담임을 기피하는 수준은 대체로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생활지도상의 어려움이 가장 큰 기피요인이었다. 그리고 행정적으로는 업무나 학급인원수 조정 배려 부족, 문제발생시 지원체제 부족, 일방적으로 담임 배정하는 문제 등이 대두되었고, 학급 경영적 요인으로는 부모가 통합학급담임보다 특수교사를 더 신뢰하는 점이나 장애학생의 행사 참여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통합학급 담임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결론에서 효율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통합학급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생활지도상, 행정상, 학급 경영상의 기피요인을 고려한 지원방안에 대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rimary factors that the middle school teachers avoid taking charge of inclusive class into three factors that administrative, leading school life, and management for class, so its purpose is searching the device for the effective solutions and divers causes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 study uses papers for questions which contain factors the middle school teachers are afraid being assigned teacher of Inclusive class. The object is the middle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Ulsan. The result of the study is following as;Firstly, the middle school teachers are afraid of being assigned teacher of Inclusive class highly; especially, the primary factor is cause for teaching students' living. Second, the administrative factor causes general teachers avoid a teacher of Inclusive class are appeared as the order of the adjustment of work of the number of class members, the short age of support system in case of problems, one-sided assignment of the class teacher. Third, the school class of managemental causes the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avoid Inclusive class teachers appeared as the order of the point that parents trust special teachers more than Inclusive class teachers, the delusion of persecution of the parents, the burdens happen when the class students are indifferent to the disabled students. Accordingly, the result are appeared that the teachers who have four to nine years of careers of Inclusive class teachers avoid the mo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BCD 만화그리기 활동을 통한 지적장애 이해교육이 일반학생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
-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Academic Word Acquisi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특수아상담 수업을 통한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아스퍼거 아동의 발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이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립 유치원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일본의 발달장애자지원법에 대한 고찰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에 대한 연구
- 학교차원의 장애이해교육이 일반 초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내적체제 개발 연구
-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건강장애학생 교육전달체계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한국적 시사점 탐색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정서 조절력 향상 연구
- 초등 2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소집단 집중교수의 효과
- 중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Providing Contingent Tact Opportunities upon the Occurrence of Vocal Stereotypy for Tw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SD
- DOCTORAL STUDENTS’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가-보고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추정의 타당성 검증
-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mputer-Based Video Instruction (CBVI) in Teaching Life skill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studies in the U.S.
- 중등학교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통합학급 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 2007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른 2008 개정 기본교육과정 음악 교과서의 국악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