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Academic Word Acquisi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이용수 0
- 영문명
- 다문화 학습부진 학생의 학습어휘습득을 위한 자기조절학습의 효과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우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4호, 271~2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다문화학생의 학습어휘 습득을 위한 자기조절학습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단일사례연구 설계법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다문화 학생 3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약 8주간 총15회기의 수업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기초선 단계에서는 명시적 교수를 이용한 어휘교수를 받았고, 중재단계에서는 명시적 교수에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추가한 어휘교수를 받았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기초선 단계보다 중재단계에서 학습어휘검사에서 더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조절학습이 추가 전략으로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의 전반적인 어휘 향상 정도를 측정해 본 결과,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두 배가 넘는 점수를 획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practices on acquisition of academic words by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CLD)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ingle-subject design. Three second-grade CLD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total of 15 sessions of vocabulary instruction were conducted during an eight-week period. The students were provided explicit instruction only in the baseline phase; self-regulation practices were added in the intervention phase. A visual inspection of the data revealed that stud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 on academic word acquisition testing in the intervention phase than in the baseline phase, demonstrating the additional effects of self-regulation practices. Further, vocabulary knowledge among the students more than doubled during the study.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BCD 만화그리기 활동을 통한 지적장애 이해교육이 일반학생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
-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Academic Word Acquisi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특수아상담 수업을 통한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아스퍼거 아동의 발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이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립 유치원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일본의 발달장애자지원법에 대한 고찰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에 대한 연구
- 학교차원의 장애이해교육이 일반 초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내적체제 개발 연구
-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건강장애학생 교육전달체계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한국적 시사점 탐색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정서 조절력 향상 연구
- 초등 2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소집단 집중교수의 효과
- 중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Providing Contingent Tact Opportunities upon the Occurrence of Vocal Stereotypy for Tw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SD
- DOCTORAL STUDENTS’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가-보고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추정의 타당성 검증
-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mputer-Based Video Instruction (CBVI) in Teaching Life skill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studies in the U.S.
- 중등학교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통합학급 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 2007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른 2008 개정 기본교육과정 음악 교과서의 국악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