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산소 운동이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Anxiety in Adolescents with Asperger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경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4호, 139~1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스퍼거 장애는 전반적 발달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손상, 제한되고 상동적인 동작과 흥미를 가지고 있으나 인지나 언어 발달에 지체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아스퍼거 장애의 부족한 사회성은 불안장애로 연결되어 학교나 지역사회에 원만하게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낳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장애의 불안을 중재하기 위해 큰 비용이나 시,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유산소 운동(걷기)을 중재 프로그램으로 선정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스퍼거 장애를 가진 3명의 청소년의 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4주 동안 주 3회, 30분씩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게 하였으며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기 전과 운동을 실시한 후, 아스퍼거 장애를 가진 청소년들의 불안에 대해 불안 민감성 척도와 한국판 상태-특성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및 후속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명의 청소년 모두 중재 이후에 불안의 수준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4주 후의 후속 검사에서도 낮은 불안의 수준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sperger disorder(syndrome) is characterized by social impairment, highly circumscribed interests, repetitive behavior, and motor clumsiness. In contrast, there are no significant delay in verbal language or cognitive development. Social impairment features of AS are the cause anxiety, comorbid in adolescents with AS. Anxiety produces a failure to adapt to their school or a community. However, little research is known about the intervention of anxiety in A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amined AS in 3 adolescents, and the use of aerobic exercise in reducing anxiety sensitivity and state-trait anxiety. Participants completed 30-min walking exercise at 3 sessions per one week for 14 weeks.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maintain an intensity 50% of their own maximum in exercise conditions. Participants conducted self-rating of Anxiety Sensitivity Inventory(ASI)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Inventories were obtained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four-weeks follow-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nxiety sensitivity score and level reduction occurred after intervention of aerobic exercise. Four-weeks follow-up responses were not altered. State-trait anxiety score and level reduction occurred after intervention of aerobic exercise. Four-weeks follow-up responses were maintained the low state. In short, training aerobic exercise to adolescents with AS consistently decreased their anxie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의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BCD 만화그리기 활동을 통한 지적장애 이해교육이 일반학생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
-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Academic Word Acquisi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특수아상담 수업을 통한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아스퍼거 아동의 발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이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립 유치원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일본의 발달장애자지원법에 대한 고찰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에 대한 연구
- 학교차원의 장애이해교육이 일반 초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내적체제 개발 연구
-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건강장애학생 교육전달체계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한국적 시사점 탐색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정서 조절력 향상 연구
- 초등 2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소집단 집중교수의 효과
- 중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Providing Contingent Tact Opportunities upon the Occurrence of Vocal Stereotypy for Tw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SD
- DOCTORAL STUDENTS’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가-보고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추정의 타당성 검증
-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mputer-Based Video Instruction (CBVI) in Teaching Life skill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studies in the U.S.
- 중등학교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통합학급 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 2007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른 2008 개정 기본교육과정 음악 교과서의 국악 내용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