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of Prelimin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희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4호, 117~13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특수교육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국어과 교과교육 과목 수강이 예비 특수교육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특수교육 교사들의 국어 교과에 대한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이었으나 높은 수준은 아니었다. 둘째,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서, 2학년이 3,4학년 학생들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국어과 교과교육 과목 수강이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전체 교수효능감 평균 점수가 향상되어 국어과 교과교육 과목 수강은 예비 특수교육 교사들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of prelimin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effects of register for Korean Language subject's education course on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of prelimin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has its meaning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course and prepare a foundation so that an important direction for content structure of subject's education course of prelimin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suggested, by analyzing the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prelimin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lated variables (gender, grade).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majoring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in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Efficacy(KLTE) analyzed into classroom management efficacy, student participation efficacy, and teaching strategy efficacy. And this study used measurement tools that are modified OSTES(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 to measure Korean language teacher's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for Windows. The conclusion of present study was as follows. 1st, the score of three factors in KLTE was distributed between from 3.53 to 3.76(total score 3.60). These result is lower than 4.0 what is the positive score. The highest score was student participation efficacy, and followed classroom management efficacy, and teaching strategy efficacy. 2nd, after analyzing of the difference in KLTE according to prelimin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der and gr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3rd, after analyzing of the difference on the effects of register for Korean Language subject's education course on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of prelimin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ut, as a result of examining 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teaching efficacy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Male rather than female showed a higher degree of teaching efficacy in gender, and the 4 grade was the higher the teaching efficacy was in 2 and 3 gra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규. (2012).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 (4), 117-137

MLA

김희규.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4(2012): 117-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