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립 유치원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Inclusive Education of Private Kindergarten Administrato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황진영 정길순 노진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4호, 183~20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사립유치원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그들이 인식하는 통합교육 개선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 시내 사립유치원 관리자 10명과 반 구조화된 면담지를 사용하여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면담결과를 기초로 유치원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알아보았다. 모든 개별 면담 자료는 녹음되고 전사되었으며, 전사된 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의 하나인 연속적 비교법의 단계에 따라 부호화되고 유형화되었다. 연구결과 4개의 주제와 9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1)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2) 통합교육의 어려움, (3) 통합교육의 효과, (4)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된 각 주제를 중심으로, 사립유치원에서 효과적으로 장애유아를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inclusive education of private kindergarten administrators. For this purpose, 10 administrators at private kindergarten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nd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inclusiv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interviewed data. All interview data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ddition, transcribed data were coded and classified through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our themes and nine subthemes emerged: (1)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2) Difficulties of inclusive education, (3) Benefits of inclusive education, and (4) Improvement plans for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uncovered themes, various means of support for those who seek to integrat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private kindergartens were discuss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 this area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BCD 만화그리기 활동을 통한 지적장애 이해교육이 일반학생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
-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Academic Word Acquisi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특수아상담 수업을 통한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아스퍼거 아동의 발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이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립 유치원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일본의 발달장애자지원법에 대한 고찰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에 대한 연구
- 학교차원의 장애이해교육이 일반 초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내적체제 개발 연구
-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건강장애학생 교육전달체계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한국적 시사점 탐색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정서 조절력 향상 연구
- 초등 2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소집단 집중교수의 효과
- 중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Providing Contingent Tact Opportunities upon the Occurrence of Vocal Stereotypy for Tw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SD
- DOCTORAL STUDENTS’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가-보고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추정의 타당성 검증
-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mputer-Based Video Instruction (CBVI) in Teaching Life skill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studies in the U.S.
- 중등학교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통합학급 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 2007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른 2008 개정 기본교육과정 음악 교과서의 국악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