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Providing Contingent Tact Opportunities upon the Occurrence of Vocal Stereotypy for Tw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SD
이용수 0
- 영문명
- 유관적 택트 제공 절차가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음성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진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4호, 253~2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 음성 상동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유관적(contingent)으로 제공되어지는 택트 기회가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음성 상동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각 연구세션에서 발생하는 음성 상동행동의 발현 회수를 기초선과 중재선에 걸쳐 종속변인으로 측정하였으며, 부가적으로 독립적 택트 및 맨드의 발현 회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험 참가자가 음성상동행동을 보일 때 마다 유관적으로 택트 기회를 제공하는 중재절차인 ‘유관적 택트 제공 절차(Contingent Tact Opportunity Procedure)’가 독립변인으로 사용되었다. 2명의 자폐성장애 중학생이 본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기능적 관계를 증명하기 위해 지연된 대상자간 ABAB설계법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유관적 택트 제공 절차’ 중재기에서 모든 실험 참가자의 음성 상동행동이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1명의 실험 참가자는 중재기 동안 더 많은 독립적 택트와 맨드를 발현하였다.
영문 초록
The experimenter examined the effects of applying a contingent tact opportunity procedure upon the emission of vocal stereotypy on the subsequent occurrence of mands, and tacts emitted in a non-instructional setting for two middle school aged participants diagnosed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current study were the rate of the frequency of vocal stereotypy, tacts, and mands emitted during experimental sessions conducted in non-instruction setting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a contingent tact opportunity procedure in which tact opportunities were delivered contingent on instances of stereotypy. A time delayed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utilized to analyz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ingent tact opportunity procedure effectively decreased stereotypy for both participants, and for one participant, showed more independent tacts and mand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skill developing procedures can effectively treat stereotyp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BCD 만화그리기 활동을 통한 지적장애 이해교육이 일반학생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
- 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the Academic Word Acquisition of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 특수아상담 수업을 통한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비디오 모델링 중재가 아스퍼거 아동의 발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이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사립 유치원 관리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 일본의 발달장애자지원법에 대한 고찰
- 학령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에 대한 연구
- 학교차원의 장애이해교육이 일반 초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내적체제 개발 연구
-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건강장애학생 교육전달체계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한국적 시사점 탐색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정서 조절력 향상 연구
- 초등 2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소집단 집중교수의 효과
- 중학교 교사의 통합학급 담임 기피요인 분석
- The Effects of Providing Contingent Tact Opportunities upon the Occurrence of Vocal Stereotypy for Tw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SD
- DOCTORAL STUDENTS’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가-보고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추정의 타당성 검증
-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mputer-Based Video Instruction (CBVI) in Teaching Life skills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studies in the U.S.
- 중등학교 예비교사가 지각하는 통합학급 교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 2007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따른 2008 개정 기본교육과정 음악 교과서의 국악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