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가-보고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추정의 타당성 검증

이용수  0

영문명
The Validity of Self-reported Weight and Height as a Method of Body Mass Index Estimation in Physic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박상규 남인수 이종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4권 제4호, 19~3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자가-보고한 체중과 신장을 이용해 산출한 체질량 지수와 체중과 신장을 직접 측정하여 산출한 체질량 지수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자가-보고에 의한 체중과 신장 그리고 이를 이용해 산출된 체질량 지수가 장애학생의 비만 판정을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D광역시, KP도, KN도에 소재한 특수학급이 있는 일반 중학교 6개교와 고등학교 7개교, 특수학교 1개교, 일반 중학교 및 고등학교 각각 2개교를 선정하여 임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조사에 어려움이 있는 2명을 제외한 장애학생 118명과 일반학생 120명을 표집하여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측정항목은 대상자의 체중과 신장을 자가-보고 방법과 인체계측기를 이용한 직접 측정 방법에 의해 산출하였으며, 각각의 방법에 의해 수집된 체중과 신장을 이용해 체질량 지수를 산출하였다. 자료처리는 상관분석과 t 검정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자료에 대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은 체중에서 여학생이 자가-보고 수치가 직접 측정 수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 여학생의 체질량 지수는 다소 낮은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장애학생 남녀 모두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에서 자가-보고 수치와 직접 측정 수치 간에 매우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일반학생은 남녀 모두 신장은 자가-보고 수치가 직접 측정 수치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에, 체중은 자가-보고 수치가 직접 측정 수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체질량 지수는 여학생만이 자가-보고 수치가 직접 측정 수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학생 남녀 모두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에서 자가-보고 수치와 직접 측정 수치 간에 매우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일반학생이 장애학생에 비해 자가-보고 수치와 직접 측정 수치와의 차이 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ation of body mass index (BMI), estimated by self-reported weight and height, can be used as a useful method for obesity determination of young males and female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tal 240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two groups: either physically disabled group (PD, n=120) or non-disabled group (ND, n=120). Subjects in PD were recruited from 6 middle schools and 7 high schools that operate the specialized classes only for disabled students, as well as 1 special school, and subjects in ND were recruited from 2 general middle schools and 2 general high schools. Two subjects were eliminated from data collection due to the difficulties for understanding of the survey. BMI was estimated by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self-reported and the direct measurement.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t-tes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α=.05. Females students in PD were revealed a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when self-reported body weight and height used. It was shown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for both genders as well as both groups in body weight, height, and BMI between values collected from self-reported and values collected from direct measurement. Whereas values obtained from self-reported he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both genders, values of body weight were only significantly lower for both genders in ND. Furthermore, BMI was also shown a significant lower values in females only (not in males) in ND. In addition, subjects in ND were shown a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 values than in PD. There was a practical limitation to make general conclusions from this study due to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were recruited and not enough types of disabilities were included. Better outcome could be drawn if the survey includes the larger number of subjects and more disabled type of subjects can be recrui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규,남인수,이종삼. (2012).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가-보고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추정의 타당성 검증. 특수아동교육연구, 14 (4), 19-37

MLA

박상규,남인수,이종삼.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가-보고 체중과 신장을 이용한 체질량 지수 추정의 타당성 검증." 특수아동교육연구, 14.4(2012): 19-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