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Burnout for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경화 표윤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431~4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배경 변인별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 수준 비교 분석, 사회적 지지가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21개 기관의 특수교사와 장애아 전담 보육교사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설문에 응답한 139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배경 변인별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학력, 전공, 교육경력, 기관유형, 근무시간, 기관소재지에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 스트레스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 중 물질적 지지가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연령대별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젊은층은 정서적 지지 변인에서 장년층은 정보적 지지 변인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지지 정도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수준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은 집단이 직무 스트레스, 소진의 경험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배경 변인이 다양한 만큼 질적으로 수준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어떠한 지원을 제공해야 하는지 알아보았고, 교사들이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 및 건강한 교직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의 근무환경 개선 및 지원방안 모색을 통하여 보육의 질 향상을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job stress and burnout for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job stress, burnout according to general information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sugges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ocial support, job stress, burnout in age, marital status, whe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in scholarship, major, educational career, facility type, working hours and location of facility.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by ages of teachers on burnout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nsequences in the emotional support variable for the youth and informational support variable for middle youth.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job stress and burnout, depending on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showed that the more a group received social support, the less it experienced job stress and burnou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Speaker Immersion Protocol on the Emission of Autoclitic Mands to Replace Tantru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 특수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문화 연구
-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을 통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체제 분석과 전망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을 수강한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 원적학급 교사의 농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
-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장애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준거 충족도 분석
-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위험유아의 장애 진단에 관한 어머니의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