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을 통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체제 분석과 전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and Prospect on the Systems of Special Education in the Standpoint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현우 정동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173~1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특수교육의 체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본 특수교육의 전통적 체제는 어떠한가?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본 특수교육의 새로운 체제는 어떠한가?라는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적용하여 특수교육의 전통적 체제와 새로운 체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통적 특수교육의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는 제 2세대 활동이론의 모형, 새로운 특수교육의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는 제 3세대 활동이론의 모형을 통해 구조화할 수 있었다. 전통적 특수교육의 외적 체제는 활동의 주체인 국가 및 사회, 활동의 매개체인 특수교육 기관, 활동의 대상인 특수아동이라는 기본요소들이 규칙, 공동체, 분업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전통적 특수교육의 내적 체제는 활동의 주체인 특수교사, 활동의 매개체인 특수교육, 활동의 대상인 특수아동이라는 기본 요소들이 규칙, 공동체, 분업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새로운 특수교육의 외적 체제는 두 개의 독립적인 활동체계인 특수교육 체제와 일반교육 체제가 상호작용하여 ‘일반교육에 접근하는 특수교육’이라는 새로운 결과물을 산출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새로운 특수교육의 내적 체제는 분리교육 환경과 통합교육 환경이라는 두 개의 활동체계가 상호작용하여 ‘아동의 요구에 적절한 배치와 교육 및 지원서비스 제공을 통해 이루어지는 특수교육’이라는 새로운 결과물을 산출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ystems of special education in the standpoint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research problems, what is the traditional system of special education when viewing in the standpoint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what is the new system of special education when viewing in the standpoint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 system of traditional special education could structualized the second-generation activity theory model, the system of new special education, by the third-generation activity theory model. The external system of traditional special education had a structure that the basic elements, which are the nation and society as the subject of activity, the organ of special education as the mediating artifact of activity, the exceptional children as the object of activity, are interacting with rules, community, the division of labor, and the internal system of traditional special education had a structure that the basic elements, which ar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the subject of activity, the special education as mediating artifact of activity, the exceptional children as the object of activity, are interacting with rules, community, the division of labor. Also, the external system of new special education had a structure which produce a new outcome, that is, ‘the special education approaching to the regular education’ by interacting of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and the regular education system which are two independent activity systems, and the internal system of new special education appeared to be having a structure which produce a new outcome, that is, ‘the special education accomplished by the appropriate arrangement for children's needs, and education & supporting service offering’.
목차
Ⅰ. 서론
Ⅱ. 특수교육 체제의 분석 틀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Ⅲ.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특수교육의 체제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Speaker Immersion Protocol on the Emission of Autoclitic Mands to Replace Tantru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 특수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문화 연구
-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을 통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체제 분석과 전망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을 수강한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 원적학급 교사의 농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
-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장애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준거 충족도 분석
-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위험유아의 장애 진단에 관한 어머니의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