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ward Stuttering Students in Inclusive 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안종복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315~33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변인(성별, 연령, 학력, 담당학년, 특수교육 연수 유무, 경력 및 지역)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남, 대구, 그리고 부산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연령, 학력, 특수교육 연수, 그리고 근무지역에 따라서 말더듬 본질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근무 지역에 따라서 말을 더듬는 학생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연령, 학력, 특수교육 연수, 경력 등에 따라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말을 더듬는 학생을 위한 지원시스템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말더듬에 대한 인식과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교사의 개별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지원시스템의 필요성에는 동의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e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oward stuttering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the inclusive environ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by survey method. Two hundred and n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teaching at the three province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test,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age, educational background, special education training, and living region were important factors to th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stutter itself; (b) the living region was important factor to th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stuttering students; (c) age, educational background, special education training, and teaching career were important factors to th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teachers' role; (d) the educational background was important factor to the teachers' recognition toward supporting system for the stuttering students; and (e)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rol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eachers indicated the necessary of the supporting system for the stuttering students in the inclusive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종복. (2013).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5 (1), 315-333

MLA

안종복.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5.1(2013): 315-3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