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이용수 0
- 영문명
-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영학 조인수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109~1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하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Osborne 등(1993)에 의해 개발되고 Royce(2003)에 의해 검증된 설문지를 우리나라 지적장애 특수학교에 맞추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인 교직원 간의 의사소통, 교육적 지원, 학교 프로그램에 관한 전문지식, 교사에 대한 배려적 태도는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교육과정 및 교수, 시간활용, 동료교사와의 관계, 학생관련 사항, 전문성 개발, 전체적인 직무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은 특수교육의 발전에 대한 관심, 의사결정을 위해 교사를 격려, 교사들의 지적 성장에 대한 도움, 교사들을 향한 신뢰와 존경의 태도, 업무 및 교수에 관한 피드백, 학교환경 개선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 등의 리더십의 발휘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즉 학교행정가인 학교장은 학교교육의 목표달성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하여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학교 경영자인 교장은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 학교장 스스로 권위주의에서 벗어나 교사들과 함께 어울리고 생활하는 시간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by investigating the leadership types of principal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ceived by teachers, targeting the teachers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surveys on 337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onducted. This stud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 papers, developed by Osborne (1993) and verified by Royce(2003)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leadership types of the principals of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pecial school teachers were found. The results show that 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showed a high recognition in the communication of teachers and educational support, th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school programs, and caring attitudes towards teachers which are the leadership types of school principals. Second, in terms of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about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special school teachers, male teachers showed a high satisfaction in all of educational courses, instruction, time-using, the relationships with co-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chool policie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of the special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 school teachers, communication with co-teachers, educational support, th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school programs, and caring attitudes towards teachers which are the leadership types of school principa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things; educational courses and instruction i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ime-using, the relationships with co-teachers, students-related matter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Speaker Immersion Protocol on the Emission of Autoclitic Mands to Replace Tantru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 특수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문화 연구
-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을 통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체제 분석과 전망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을 수강한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 원적학급 교사의 농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
-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장애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준거 충족도 분석
-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위험유아의 장애 진단에 관한 어머니의 경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