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을 수강한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이용수 0
- 영문명
-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Belief on Inclusion Education Studied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구신실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153~1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관련변인과 장애아동 교육봉사 경험을 통해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을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의 중요성에 대한 제고와 예비교사의 효율적인 특수교육학개론 교과운영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교육의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P시에 소재한 3개 대학교의 교직소양과목으로 특수교육학 개론을 이수한 총 167명의 특수교육 비전공자인 중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은 중앙치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의 하위영역 중에서 통합으로 기대되는 결과에 대한 교사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합교실의 실제에 대한 교사신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통합에 대한 핵심적인 관점, 통합으로 기대되는 결과, 통합교실의 실제에 대한 교사신념을 포함한 전체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은 장애아동 교육봉사 경험이 있는 중등 예비교사가 장애아동 교육봉사 경험이 없는 중등 예비교사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아동 교육봉사 경험이 없는 중등 예비교사보다 일정기간의 교육봉사 기간을 경험했던 중등 예비교사가 통합에 대한 교사신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 예비교사의 장애아동 교육봉사 경험의 기관과 참여유형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중등 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은 차이가 없으며,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중등 예비교사가 학부에 재학 중인 중등 예비교사보다 통합에 대한 핵심적인 관점에 대한 교사신념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전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사범계열의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중등 예비교사가 사범대학과 사범계열에서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중등 예비교사보다 통합교육에 대한 핵심적인 관점에서 교사신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합으로 기대되는 결과와 통합교육의 실제에 대한 교사신념,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전체에서는 교직이수 구분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nclusion of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belief on inclusion education according as the experiences of education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educational outreach experi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67 students studied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course in the 3 university of P C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or inclusive education of teachers beliefs level was higher than the median, beliefs about the expectations for the inclusion of the sub-area of teacher beliefs about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were the highest. And beliefs about the actual integrated classroom teachers was the lowest. Second,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on education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higher than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do not have experience in educational outreach, teacher beliefs were. And teacher beliefs about inclusion appeared to be higher than a certain period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do not have experience in educational outreach education service had experienced a period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volunteer experience on teacher beliefs and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tha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eachers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Appeared to be higher than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aculty of secondary teacher beliefs about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completion of a series of teaching the non-major in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pursuing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Department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a critical perspective on inclusive education for teachers' beliefs were higher than the However, the beliefs of the teachers in the belief that the entire sub-region and integrated education for teachers teaching under this classific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Speaker Immersion Protocol on the Emission of Autoclitic Mands to Replace Tantru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 특수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문화 연구
-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을 통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체제 분석과 전망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을 수강한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 원적학급 교사의 농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
-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장애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준거 충족도 분석
-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위험유아의 장애 진단에 관한 어머니의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