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
이용수 0
- 영문명
- Actual condi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한숙희 박재국 김혜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453~4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통합학급 교육과정 운영 방안 및 교수적합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부산광역시 소속 통합학급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통합교육 장면에서 교수적합화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으며, 개별학생의 장애특성을 반영한 교수적합화 환경구성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합학급교사들은 주로 난이도를 조정하여 학습내용을 제시하거나 시각형 학습 자료를 활용하거나 특수교사와 협의하여 국어 및 수학과 같은 도구교과에서 교수적합화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통합교육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 교수적합화 계획형태와 장애학생 자리배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 연수 등을 통한 통합학급교사 재교육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of 200 general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clusive classroo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environment composi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be based on Individu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not systematically achieved. Seco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re mainly presented adjusting the difficulty of learning content and used Visual learning materials and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often be enforced in Languages and mathematics. Finally, They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inclusive education training experience on instructional adaptation plan type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s seat placement. According to such results, the importance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etraining by inclusive education training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Speaker Immersion Protocol on the Emission of Autoclitic Mands to Replace Tantru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 특수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문화 연구
-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을 통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체제 분석과 전망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을 수강한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 원적학급 교사의 농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
-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장애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준거 충족도 분석
-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위험유아의 장애 진단에 관한 어머니의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