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이용수  0

영문명
A Research Study on Injury Experience, Solutions, and Prevention of School Safety Accidents for Special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우현 김정연 황지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243~26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겪은 상해와 사고처리 방법 실태 및 사고 예방 방안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공립 특수학교 6개교의 교사 중 설문에 응답한 특수교사 23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의 44.8%가 교사상해를 경험하였으며, 이 중 61.5%의 교사가 예방지식은 있으나 실제 상황에의 대처능력이 결여되었거나 예방지식이 없어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상해 발생 시 가해학생에 대한 선도 규정이 명확하지 않았으며, 상담이나 학부모 및 학생의 사과로 처리하였고, 상해 처리를 교사의 자력 구제에 의존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상해 예방을 위한 요구로는 학급당 인원축소를 가장 많이 요구하며,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반면에 실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논의 및 제언에서는 문제행동 중재 및 환경 개선을 통한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교권침해 발생 및 특수교육 질 저하 우려, 책임주체 및 선도규정 마련, 그리고 학교안전교육 실시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to survey the actual conditions of injury experience, solutions, and prevention due to school safety accidents at special school in these three years(2008~2010). 239 teachers working in public special schools (for a total of six) in B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44.8% teachers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in their schools, especially, 45.6% teachers responded that the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results in injuries. 61.5% teachers couldn't deal with them properly due to lack in their gumption despite their having knowledge to prevent, or lack in their prevention knowledge. Second, in case of occurring teacher injury due to aggression or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in school, leading regulations of students didn't clearly so that 'consultation' or 'apologized of parents and students' are used as measures, and teachers who getting injured get treatment for themselves with their own money. Third, special school teachers hope a reduction in class personnel and awareness of the need of safety education related with injury is very high, but the implementation is low relatively compared to the recognition.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promotion of safety educational environment, concerning for teacher's authority abuse, establishing the leading reg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school safet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우현,김정연,황지현. (2013).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15 (1), 243-266

MLA

김우현,김정연,황지현.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15.1(2013): 243-2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