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Social Behavior and Play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진희 이효신 박채진 배민정 강정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놀잇감과 놀이방법의 선택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A시에 소재한 B장애아 전문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발달지체유아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연구기간은 2012년 5월 21일부터 9월 3일까지로 약 15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대상자별로 4회기∼10회기의 기초선 기간과 13회기∼16회기의 중재 기간, 유지 3회기의 관찰 및 측정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첫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놀잇감 선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놀이방법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의 증가와 긍정적인 반응 행동 증가 및 부정적인 반응 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비놀이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놀잇감 선택 및 놀이방법 학습에 동기부여를 제공하였으며 움직이는 로봇이 가지는 이동성과 친근감이라는 매력적 요소는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함에 있어서 매체로서의 로봇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selecting toys, play activities, and social behavior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For this study, 3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selected by B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ch located in the A City.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the social behavior, the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 was used. The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15 weeks, each of subjects was observed and measured by 4 to 10 baseline sessions and 13 to 16 treatment sessions, 3 follow-up sess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selection of toys has influenced positively. Second,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learning how to play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as effective. Third,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increased social behavioral responses, social initiation and positiv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reduced negative reactions. Fourth,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was effective in reducing non-play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Speaker Immersion Protocol on the Emission of Autoclitic Mands to Replace Tantru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 특수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문화 연구
-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을 통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체제 분석과 전망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을 수강한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 원적학급 교사의 농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
-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장애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준거 충족도 분석
-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위험유아의 장애 진단에 관한 어머니의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