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Social Behavior and Play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진희 이효신 박채진 배민정 강정배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놀잇감과 놀이방법의 선택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A시에 소재한 B장애아 전문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발달지체유아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연구기간은 2012년 5월 21일부터 9월 3일까지로 약 15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대상자별로 4회기∼10회기의 기초선 기간과 13회기∼16회기의 중재 기간, 유지 3회기의 관찰 및 측정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첫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놀잇감 선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놀이방법 학습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의 증가와 긍정적인 반응 행동 증가 및 부정적인 반응 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비놀이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놀잇감 선택 및 놀이방법 학습에 동기부여를 제공하였으며 움직이는 로봇이 가지는 이동성과 친근감이라는 매력적 요소는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함에 있어서 매체로서의 로봇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selecting toys, play activities, and social behavior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For this study, 3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selected by B day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ch located in the A City.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the social behavior, the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 was used. The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15 weeks, each of subjects was observed and measured by 4 to 10 baseline sessions and 13 to 16 treatment sessions, 3 follow-up sess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selection of toys has influenced positively. Second,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on learning how to play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as effective. Third,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increased social behavioral responses, social initiation and positiv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reduced negative reactions. Fourth, the intervention program using robot was effective in reducing non-play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희,이효신,박채진,배민정,강정배. (2013).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5 (1), 1-28

MLA

김진희,이효신,박채진,배민정,강정배.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5.1(2013):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