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이용수  0

영문명
ADHD symptoms and stress level and stress response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최진오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267~29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ADHD증상이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서울, 인천지역 4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18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우선, 초등학생들의 ADHD증상은 그들의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행동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주의력결핍 증상이 과잉행동/충동성 증상보다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행동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DHD증상과 개별변인들(성별, 학년, 학업성취도, 친구관계 등)과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 학생들의 성별, 친구관계 중 친구유무와 절친유무가 ADHD증상과 상호작용하여 스트레스 수준 또는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에서는 ADHD증상을 가지고 있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스트레스에 보다 충동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수준에 있어서는 ADHD증상을 가지고 있더라도 친구가 있을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스트레스 수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있어서는 ADHD증상을 가지고 있더라도 절친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인지적 재구조화, 합리적 문제해결 등 바람직한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더 자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DHD symptoms and stress level and stress response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educational regions, 1,182 4-6th sixth grade students of 4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ADHD symptoms of the student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stress level and types of stress response behaviors. In particular, students with inattention symptoms tended to experience higher level of stress than those with hyperactivity/impulsiveness symptoms. Furthermore,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of ADHD symptoms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stress level and stress response behavior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with ADHD symptom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higher level of stress and use impulsive type of stress response behavior than male students with ADHD symptoms. In addition, students with ADHD symptoms who had a friend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lower level of stress than those without a friend. Also, students with ADHD symptoms who had a very close friend tended to employ better stress response behavior such as cognitive reframe and rational problem solving compared to those without a close frien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오. (2013).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특수아동교육연구, 15 (1), 267-291

MLA

최진오.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특수아동교육연구, 15.1(2013): 267-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