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 of Parenting Stress Control and Quality of Family Life Improve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Leisure Self-Help Group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연희 황순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293~3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자녀를 둔 장애아동 어머니 6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12회기의 여가 자조모임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관한 자료는 비모수적 방법인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여가 자조모임을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되었고, 특히 부모의 고통 영역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여가 자조모임은 장애아동 어머니의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고, 그 중에서 정서 상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질적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 모두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가 자조모임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지원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eisure self-help group program affects on paren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e end, six subjects who have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Leisure self-help group program was implemented total 12 times, once a week for two hour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parenting stress scale and quality of family life scale were employed for pre-test and post-test. As a result,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First,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duced due to leisure self-help group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trouble domai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ysfunctional parent-children relation and children with picky mind domain. Futhermor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became positive. Second, leisure self-help group program increased quality of family life.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only in the state of emotion domain, the quality of family life turned positive in genera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leisure self-help group program can be effective supporting method for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mproving quality of family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영유아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 스트레스, 소진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a Speaker Immersion Protocol on the Emission of Autoclitic Mands to Replace Tantru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 통합어린이집 장애전담교사와 유아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 실태 및 지원요구
- 특수학교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문화 연구
- 특수학교 안전사고로 인한 특수교사의 상해 실태 조사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을 통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체제 분석과 전망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을 수강한 중등예비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ADHD 증상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
- 원적학급 교사의 농문화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 통합교육 환경의 말더듬 학생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합화 실태
- 여가 자조모임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놀이활동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장애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특성 및 연구방법론적 준거 충족도 분석
-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자폐성 장애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장애위험유아의 장애 진단에 관한 어머니의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