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Secondary Science Class Applied UDL on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권효진 박현숙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1호, 213~24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하여 장애․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지적장애학생 6명, 비장애학생 192명, 교사 8명이며, 실험․통제집단으로 나누어 UDL 수업을 28차시 실시하였다. 중재를 위하여 연구참여 교사들은 국내 중등 과학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UDL 교수법을 선정하고 학습지도안을 고안한 후 지도안 검토 협의․UDL 수업 전 협의․UDL 수업 후 협의 등의 과정을 거쳤다. 수업참여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적장애학생의 경우 담당 과학교사가 사전 일반수업 후 3회, 매 차시 UDL 수업 후 28회, 사후 일반수업 후 3회 수업참여도를 측정하여, 전체 및 하위영역(수업준비행동, 주의집중행동, 과제수행행동, 적절한 반응행동)에 대하여 변화추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비장애학생의 경우, 사전․사후 각 1회씩 수업참여도를 측정하여 전체 점수에 대한 공분산분석으로 두 집단 간 차를 검정하였다. 또한 네 하위영역 중 중재에 의해 유의하게 영향을 받은 영역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한 후, 그 하위영역에 대하여 공분산분석으로 두 집단 간 차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장애학생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체 점수와 네 하위영역에서 더 많이 향상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장애학생의 경우에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체 및 하위영역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UDL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condary science class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on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are 6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92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a general middle school in Seoul, and 8 teachers who are for supporting UDL. All students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through 28 UDL science less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scores and profile fluctuation on graphs in both whole scale and 4 subscales of 4 behaviors(attending, class preparing, task performing, & proper response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exhibited increased academic engagement in both whole scale and 4 subscales, showing that UDL made greatly or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engage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UDL can be used in regular science classrooms to improve academic eng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효진,박현숙. (2013).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5 (1), 213-241

MLA

권효진,박현숙.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등과학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5.1(2013): 213-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