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Action Research Using the Five Practices to Foster Productive Classroom Discourse in High School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윤정운(Jung Woon Yoon) 이수진(Soo Jin Lee)
간행물 정보
『학교수학』제27권 제2호, 229~25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량 중심 교육의 실행 방안으로서 5가지 관행을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 수업을 설계·실행하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교사의 성찰적 지식을 분석·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자는 일반고등학교 1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계획-실행-성찰’의 순환적 과정을 반복하며 총 4차시에 걸쳐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고, 관행의 구현 양상 및 교사의 성찰적 지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가지 관행은 수학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실행에 유익한 교사 지침이 되었으며, 관행의 특성에 따른 실행 수준 개선의 차이, 관행 간의 상호 영향, 수업 실행과 관련된 관행의 활동 단위 반복 수행 등의 특징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의 지속적인 수업 성찰과 실행의 반복 과정이 관행 적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5가지 관행이 역량 중심 수업 실행을 위한 세부적인 교사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특히 교과 역량 신장을 위한 수업 실행 전략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Five Practices to high school mathematics instruction as a means of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reflective knowledge gained by the teacher through the instructional process. The researcher conducted four lessons with a first-year class at a general high school, repeatedly engaging in a cyclical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while applying the Five Practices, and analyzed the patterns of practice implementation as well as the teacher’s reflective knowledg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ive Practices served as a useful instructional guide for enac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ligned with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key mathematical competencies. The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improvem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practice, interdependencies among the practices, and the characteristic of repeated implementation of certain practices within individual classroom activities rather than across whole lessons. Furthermore, the teacher’s continuous reflection and repeated lesson implementa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application of the Five Practic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ive Practices can serve as detailed instructional guidance for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lessons, and it is expected to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especially for teachers seeking concrete strategies to enhanc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정운(Jung Woon Yoon),이수진(Soo Jin Lee). (2025).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학교수학, 27 (2), 229-257

MLA

윤정운(Jung Woon Yoon),이수진(Soo Jin Lee).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학교수학, 27.2(2025): 229-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